종교학 벌레978 신정론이라는 물음과 해답 신정론(神正論, theodicy)이라는 신학 용어가 있다. 국어사전에는 이렇게 정의되어 있다. 신정-론(神正論) [--논] 명[철학] 신은 악이나 화를 좋은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신은 바르고 의로운 것이라는 이론. 이 세상에 악이나 화가 존재한다는 이유를 들어 신의 존재를 부인하려는 이론에 대응하여 생긴 것이다. 종교 전통에서 이것은 참 고전적인 물음이다. 자기 주변에서 착한 사람이 고난을 받고 못된 인간들이 떵떵거리고 잘 사는 것을 목격하는 것은 거의 보편적인(?) 경험에 속한다. 그럴 때마다 과연 이 세상의 법칙성이란 존재하는 것일까, 이 세계를 주재하는 신은 존재하기나 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솟구쳐 오르게 된다. 이 세계의 본질을 고통으로 규정하고 그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가르치는.. 2023. 5. 31.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아프리카 유산 미국의 인류학자 헤르스코비츠(Herskovits)는 1941년에 (The Myth of the Negro Past)라는 책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역사적 유산에 대한 다섯 가지 신화(허구)가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학계에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하나하나 논박하였다. 다섯 가지 신화는 다음과 같다. 1. 흑인들은 천성적으로 어린애같은 성격이라, 불만족스러운 사회 상황에도 쉽게 적응하여 그것을 기꺼이, 심지어는 기쁘게 받아들인다. 이는 노예보다는 차라리 소멸을 선택했던 아메리카 인디언들과는 반대된다. 2. 아프리카에서 보다 열등한 부류가 노예가 되었다. 아프리카에서 더 지적인 부류는 습격당했을 때 노예 상인의 덫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했기 때문에 화를 면했을 것이다. 3. 흑인들은 아프리카 전 대륙.. 2023. 5. 31. 얼굴과 이름은 다를지라도 여전히 당신을 믿고 있습니다 캐리비언 베이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카리브 만에 있는 서인도 제도에 있는 나라들은 한국 사람들에게 그리 익숙한 이름들이 아닐 것이다. 바로 이 지역에 혼합현상(Syncretism)의 중요한 사례들이 있다. 이 지역은 노예 무역을 통해 아프리카 사람들이 강제로 이주된 곳이다. 아프라키에서 온 노예들은 전통 문화를 몰수당하고 기독교를 강요받았다. 예를 들어 1685년의 아이티 흑인법에 따르면, 노예들은 도착한 지 8일 이내에 의무적으로 기독교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물론 전통 신앙은 엄격히 금지되었다. 이런 기막힌 상황에서 아프리카인들은 기독교의 외피 안에 전통 신앙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행태의 종교를 발전시켜 나갔다. 그들은 가톨릭 성인들에 아프리카 신들을 겹쳐 놓고 숭배하였다... 2023. 5. 31. 현대 종교학 이론 수업 “Religion502: Contemporary Theories of Religion,” 이것은 이번 학기(2004년 봄학기)에 들은 한 수업이다. 현대 종교 이론들을 정리하는 이 수업은 대학원 필수 과정이다. 이 수업은 내게 중요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한다면, 내가 미국에 건너가 공부하게 된 계기 중 하나가 “이론에 대한 갈증”이었기 때문이다. 한국 대학원에 있을 때 내가 갖고 있었던 막연함 두려움 중 하나가, 내가 세계의 이론적 흐름에서 이탈해 있지 않나 하는 것이었다. 70년대에 유학하신 선생님은 70년대의 학문을 가르치고, 80년대에 유학하신 선생님은 80년대의 이론을 가르치는 것이 한국 대학원 커리큘럼의 현실이었다. “현대” 이론은 간헐적으로 다루어지기에, 대학원생들끼리 세미나라는 일종의 비정.. 2023. 5. 31. “나는 당신같은 외부인이 두렵습니다.” 종교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 그것은 실제적으로는 종교를 믿는 인간과 관계를 맺는 일이며, 그리하여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어떠한 인격적인 관계가 맺어지든 간에, 연구자는 그 종교인에게 타인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 설정에 관련된 논의는 종교학 방법론에서 (시원한 해답 없이) 많이 논의되는 주제인데, 로리스라는 인류학자의 한 논문이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어 여기 간추린다. (Elaine J. Lawless, "I was afraid someone like you... an outsider... would misunderstand": Negotiating Interpretive Differences between Ethnographers and Subje.. 2023. 5. 31. 자료 획득과 인문학하기 인문학 대학원생이 되면, 약간이나 가지고 있던 낭만이 깨어지며 인문학의 현실을 직면하는 과정을 필연적으로 겪게 된다. 너무나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이유에서 그런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여기선 그저, 주제를 극도로 한정지어서, 내가 겪었던 자료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싶다. 겉으로는 인문학이 고매한 이상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인문학의 성패를 가름하는 것은 자료(reference)이다. 이 평범한 명제를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대학원의 입문 과정에서 있는 일이다. 자료라는 것은 물질적인 것이고, 그래서 그 물질의 취득 과정에서 한국에서 학문한다는 것의 의미, 그리고 제3세계 지식인으로서의 위치라는 별로 생각하고 싶지 않았던 문제들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한국.. 2023. 5. 31. 고전 종교학사 수업을 듣고 강의 제목: Classical theories of Religious Studies 2003년 가을 학기, Joel Geroboff 교수 이 강의의 실라부스를 처음 접할 때 교재목록을 보고 느낀 것은 평범하다는 것이었다. 내가 처음으로 접하는 생소한 학자의 글은 별로 없었다. 새로운 시각을 위해 수업 도입부에 제공된 아티클도 , 내가 직접 참가한 수업은 아니지만, 몇 해 전 정진홍 선생님의 수업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진 에서 발췌된 것이었다. 처음 듣는 학자도 없고, 어느 정도는 읽거나 많이 들어본 텍스트로 짜여진 이 수업이, 처음에는 만만하게 보였다. 하지만 읽은 책이든 아니든 일주일에 한 권 정도씩 읽고 그걸 내 관점에서 정리하여 글을 쓰는 게 쉽게 진행될리 없었다. 그 과정에서 난 놀라울 정도로 많은.. 2023. 5. 31. 영화 [오아시스]에서 빛나는 것 1. 주물숭배(fetishism) 판 데르 레이우는 릴케의 동화 한 소절을 통해서 주물숭배에 대한 설명을 시작한다. 그가 인용한 동화에서 아이들은 이렇게 말한다. "그런데 어떻게 주님을 믿지? 그보다 더 쉬운 게 어디있어! 모든 게 하나하나 주님일 수 있지. 적어도 그 물건에게 그렇게 말하기만 하면 되는 거지. 그리하여 아이들은 어머니의 골무가 은빛으로 빛나고 너무 예쁘니 사랑하는 주님으로 삼자고 했다. 아이들은 차례차례로 주님을 끼고 다녔는데, 꼬마 마이가 그만 사랑하는 주님을 잃어버렸지..." 레이우는 이 구절을 인용한 후에 다시 강조하여 말한다. "신이라고 말하면 모든 것이 신이 될 수 있다. 특히 아름답게 빛나면 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동화의 한 구절을 이용하여 한 종교 현상을 와닿게 설명하.. 2023. 5. 31. 기적의 종류 이승환의 노래 중에 "덩크 슛"이란 게 있다. "덩크슛 한 번 할 수 있다면, 내 평생 단 한 번만이라도..." 이승환처럼 키가 작은 한 소년이 덩크슛 해봤으면 하는 소망을 말하는 것이 노래의 내용이다. 그리고 노래의 말미에서 덩크슛의 소원은 이루어진다.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겠지만, 들릴 듯 말듯한 라디오 중계 방송 소리로 슛 장면이 중계된다. 그것은 한 현대 도시인의 꿈이다. 그것이 이루어진 것을 하나의 "기적" 이라고 표현한다면 깜찍한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그러나 소망의 이루어짐을 기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수사법을 넘어서는 경우를 우리는 종교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흔히 기적은 초자연적인 신의 개입이라고 이야기된다. 예수의 부활에서 볼 수 있듯이 불가능함을 이루는 정도야 종교사에서 기적이라고.. 2023. 5. 31. 세계 종교 수업 시간에... 며칠 전 “세계의 종교” 수업 시간의 칠판을 그대로 옮겨 본다. 이 수업은 일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입문 강의로, 난 조교로서 이 수업에 참관한다. 보시다시피 동아시아 종교를 다루는 대목이다. Taoism cosmic harmony / social harmony Chuang-Tuz, Holiness=Simplicity, power=relation to Tao Tao Te Ching, yin/yang, Wu-Wei Reality: process, dynamic flow human being: essentially good Confucianism Confucius, Chun-Tzu=superior man Li = principle of Harmony, Yi = internalization Jen(Ren).. 2023. 5. 31. 삶을 문자화한다는 것 “삶을 문자화 한다는 것, 그것은 문화적인 폭력일 수 있다.” 다소 거칠게 표현하기는 했지만, 이러한 주제가 요즘 학계에서 자주 제기되는 문제의식 중 하나인 것 같다. 아사드(Talal Asad)의 (The Genealogies of religion) 5장은 번역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영국 인류학자들의 글을 분석하면서, 그는 인류학자들, 특히 상징을 다루는 학자들의 작업에는 “상징은 언어적 의미로 완전히 이해가능하며, 따라서 우리의 언어로 번역 가능하다”는 전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얼핏 보면 당연하게 보이는 전제이다. “그들”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상징 체계, “상징들이 의미하는 바”를 캐내는 것이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적 번역이라는 것, 일종의 문화적 호완성을 만드는 것이다... 2023. 5. 31. 긍정의 힘 조엘 오스틴 목사의 . 읽다 보니 술술 잘 읽혀 끝까지 읽었다. 이 책이 상징하는 유행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자기 확신에 근거한 노력이 성공으로 이어지는 서사는 지금 세대도 갈망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장점은 진솔함과 일상적임이다. 설교 메시지는 미국 도시 중산층의 경험으로 번역된다. 이 분의 낙관적 세계관의 근거는 자신의 성공인데, 그래서 자기 교회의 성공담이 사례에 꽤 포함되어 있다. 일상적 사례 중에는 시덥지 않거나 찌질한 것도 있다. 그런 이야기가 권위 있는 목사의 입을 통해 신앙으로 인증된다는 것이 책이 갖는 매력일 것이다. 사례들을 인용하기는 힘들어 몇몇 대목만 메모해둔다. 번영신학을 대표하는 책답게, 가난은 하느님의 방식이 아니라고 선언한다. 이런 생각의 근거는 무엇일까? 그저 미.. 2023. 5. 31. 기적을 쟁취하려는 경쟁사회 1. 는 제목 그대로 프랑스의 유명한 성지 루르드에서 일어난 이야기이다.(우리나라에서는 대구 성모당이 이곳을 본떠 만들어졌다.) 전신불수인 주인공이 루르드에서 기적적으로 치유 받아 몸을 움직이게 된다는 이야기다. 여기까지만 보면 하느님의 기적을 찬양하는 전형적인 종교영화이다. 그래서 나도 심드렁하게 보고 있었는데, 갈수록 영화가 심상치 않음을 느끼게 된다.... 2. 순례단을 이끄는 수녀는 엄격한 사람이다. 엄격함이 심해 신앙 언어로 구성된 폭력을 휘두른다.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이에게 “쉽지는 않겠지만 우리의 운명을 겸손하게 받아들여야 해요. 당신이 겪는 고통엔 깊은 뜻이 있어요.”라고 못박으며, “난 여러분을 위하여 고난을 겪으며 기뻐합니다.”라는 성 바오로의 말을 인용한다. 아픔을 주.. 2023. 5. 31. 랜디스가 채록한 한국 동요 한국에 입국한 최초의 성공회 선교사 중 한 명인 랜디스는 인천 지역에서 병원과 고아원을 운영하였다. 그는 고아들에게 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동요를 채록하여 1898년 미국 저널에 발표하였다. 수록된 지면은 다음과 같다. E. B. Landis, "Rhymes of Korean Children,"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11-42 (1898): 203-09. 랜디스가 의례를 중시하는 성공회 선교사이기 때문에 다른 개신교 선교사들과는 달리 의례에 대한 감수성이 뛰어났을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그의 글을 검토하고 있다. 사실 동요는 내 관심과는 거리가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 동요 모음의 첫 두 노래가 (그가 성공회 사제로서 중시했으리라 생각하는) 의례와 사제에 대한 경멸을.. 2023. 5. 31. 요가와 혼합현상 1. 2018년 2월호에 “한국 기독교의 혼합주의, 혼합현상”이라는 내 글이 실렸다. 편집장 선생님의 배려 덕이다. 나로서는 혼합주의 담론의 주무대 중 하나였던 유서 깊은 잡지에 그에 대한 다른 시각을 담은 내 글이 추가된 것에 의미를 둔다. 2. 그런데 나조차도 이번호에서 눈길이 가는 쪽은 요가를 다룬 특집 기사이다. 아래 기사는 특집의 논문들의 쟁점을 요약 소개하고 있다. 기사 마지막에 인용된 문장이 눈길을 끈다. 이 문장은 ‘권두언’의 마지막 문장이기도 하다. 이 문장은 ‘혼합주의는 안 된다’는 혼합주의 담론이 편집진에게 여전히 건재함을 보여준다. "他종교 의례" vs "스포츠일뿐".. 개신교 '요가' 논란 ‘기독교 사상’의 박종화(경동교회 원로목사) 편집위원은 “다만 힌두교적 종교성을 추구하거나 .. 2023. 5. 30. 이전 1 ··· 4 5 6 7 8 9 10 ···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