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공부114 [논문]1910년대 서양인의 한국불교 연구(2022) 방원일, “1910년대 서양인의 한국불교 연구”, 『종교문화비평』 42 (202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1910년대에 한국불교(Korean Buddhism)에 관해 서술한 네 명의 서양인을 다룬 논문이다. 1910년 이전에는 한국불교는 서양인 저술에서 퇴락한 종교로, 소멸할 위기에 처해 있는 옛 전통 정도로 인식되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1910년대 이후, 1920년경에 한국불교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불교가 독자적인 연구 주제로 확립되는 변화에 주목하면서, 네 명의 서양인 저자의 저술을 검토하였다. 막스 뮐러의 제자로 동아시아와 기독교의 관련성에 관심이 많은 아마추어 저술가 고든 부인, 한국 전통에 조예가 있었던 성공회 선교사 트롤로프 주교, 저명한 미국 인류학자 프.. 2025. 3. 5. [논문]코로나 시대의 종교와 공간(2021) 코로나 유행이 1년 이상 되었던 시기에 준비한 논문. 불확정적인 시대에 시사적인 글을 쓰다보니 주제가 잘 잡히지 않았다. 애는 썼지만 결론은 평범한 편. 상황의 요청에 의해 써야 하는 글은 쓰기가 쉽지 않다. 방원일, “코로나 시대의 종교와 공간”, 『종교문화비평』 40 (2021). 초록:한국의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종교는 이슈의 중심에 있었다. 한국 정부는 방역을 위해 비대면 종교 집회를 요청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독립적 영역이었던 종교 공간에 공적 개입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개신교는 전반적으로 비대면 예배를 수용하였지만, 일부 교회가 대면 예배를 고수하면서 논쟁이 빚어지기도 했다. 개신교회가 ‘주일성수(主日聖守)’라는 시간적 규범을 공간적 규범으로 변형해가면서까지 대면 예배를 고수한 배.. 2025. 2. 24. [논문]근대 크리스마스의 형성(2024) 크리스마스는 이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다룬 주제이다. 평소에 관심을 두고 모아둔 자료를 정리하고, 최근에 본 좋은 책을 기반으로 쓴 논문이다. 서양의 크리스마스 역사는 내가 창의적인 주장을 제기할 수 없는 분야이다. 그렇지만 학술적으로 조금도 정리된 내용이 없다는 이유에서, 정리 차원의 논문을 쓰게 되었다. 다음에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생각하고 있다. 방원일, "근대 크리스마스의 형성: 유럽 전통의 메타모포시스", 15권 1집(2024년). 초록:크리스마스는 근대 미국에서 유럽 전통을 조합해서 형성한 ‘만들어진 전통’이다. 이 논문은 크리스마스가 고대 유럽에서 형성된 배경, 근대에 전통의 변형을 통해 재탄생하는 과정, 현대에 상업적 환경 속에서 성장하는 모습을 다룬다. 우리는 이 사례.. 2025. 2. 24. 딥시크에게 종교를 묻다 아래 글을 AI로 편집한 버전이다.https://crrc.tistory.com/2810 2025. 2. 23. [책소개] "만남" 관련 인터뷰 2023년 “개신교 선교사와 한국종교의 만남”을 출판한 직후 라디오 방송에서 가졌던 인터뷰이다. 책과 관련된 내용으로 무난하게 진행되었다. 다소 흥분해서 목소리가 들뜨기는 했지만 하고픈 이야기는 대략 전달했다고 기억한다. 연락주신 관계자께 다시 감사드린다.인터뷰는 아래 질문지 내용대로 진행되었다.원음방송 둥근 소리 둥근 이야기>, “달을 가리키다” 코너2023년 9월 6일 (수) 오후 6시 ~ 7시 https://www.youtube.com/watch?v=aqSKBmsDiKw 우리나라에 개신교가 들어온 지 150년 정도가 됐습니다. 이는 개신교와 한국 종교의 만남이 150년이 되었다는 건데요. 처음 한국에 들어온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국 종교들을 어떻게 대하고, 어떤 종교로 기록하고 있을까요?최근, 종교.. 2025. 2. 19. [논문]20세기 전반 하얼빈의 종교 지형과 문학적 표상(2023) 방원일, “20세기 전반 하얼빈의 종교 지형과 문학적 표상”, 종교와 문화>> 45(2023).요즘 하얼빈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전에 우연한 계기로 쓴 논문이 하얼빈의 다양한 종교문화에 관한 것이라 생각난 김에 올린다. 하얼빈 이주민의 다양한 종교를 소개하고 관련된 문학 자료를 얹어 구성된 논문. 동북아 역사, 문학, 둘 다 전공이 아니라서 쓸 때 공부는 많이 되었지만 신통치 않은 구석도 있는 글이다. 초록:하얼빈은 1900년 무렵 동서를 잇는 철도 교통의 요지에 러시아에 의해 건설되었다. 정교회 성당을 중심으로 한 유럽식 시가지가 조성되었고, 신속하게 유럽 문화가 전달된 동서교류의 중심지가 되었다. 1920년대에는 중국이 주도권을 행사했고, 중국인을 위한 공자 사당과 불교 사원이 건립되었다. 1932.. 2025. 2. 13. 스미스와 올바른 종교학 조너선 스미스의 학문 세계를 정리할 일이 생겨 읽은 책이 샘 길(Sam Gill)의 올바른 종교학: 조너선 스미스를 바탕으로>(2020)이다. 2017년 스미스가 사망한 이후 그의 학문적 성과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출판된 책 중 하나이다. 개인적으로는 수십 년째 스미스와 길의 책을 읽으며 종교학을 공부해 왔던 터라 둘 다 친숙한 학자이다. 그 둘의 대화를 듣는 기분으로 읽은 책이다. 샘 길은 북미 원주민(Native American) 종교 연구자로, 스미스와 전공 분야는 달라도 이론적 관심을 공유하며 작업해 왔다. 예를 들어, 스미스의 꼼꼼한 자료 비평에 자극받아, 원주민 자료가 학자들에게 변용되어 인용되는 방식을 추적한 이야기 따라가기>(Storytracking, 1988)를 저술한 바 있다.스미스의 학.. 2024. 7. 17. [책]메타모포시스의 현장 이 책은 종교, 전력망, 헝가리에서 볼 수 있는 변화를 설명한다. 묘한 조합이다. 상관 없어 보이는 세 전공자가 한 사업단에 속해 있기에 만들어진 조합이다. 나는 책의 1부(1-4장)에서 그간 혼합현상(syncretism)에 관해 써온 글들을 정리했다. 종교는 만나 섞여서 변화한다. 정체성을 중시하는 신학에서는 비난의 대상이 되지만, 종교사에서 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만남이다. 나는 신크레티즘이라는 다소 어려워 보이는 말에 끌려 학자들의 논의를 추적해왔다. 결론은 종교학에서 혼합현상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례영역에서 혼합의 역동성이 발휘된다, 정도의 간단한 내용이지만 일단은 여기까지 일단락하고 다음 공부를 준비하려 한다. 제1부 종교의 메타모포시스1장 종교의 혼합과 변형2장 혼합주의 담론의 역사.. 2023. 9. 7. [책]개신교 선교사와 한국종교의 만남 박사논문을 책으로 정리해서 내는데 10년이 넘게 걸렸다. 속이 시원하다. 아래의 글은 책소개를 요청받아 "대학지성"에 기고한 내용이다.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43 한국종교가 종교라는 이름을 얻기까지 - 대학지성 In&Out ■ 책을 말하다_ 『개신교 선교사와 한국종교의 만남』 (방원일 지음, 소명출판, 306쪽, 2023.07) 우리는 만남이 잦은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가 사는 곳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을 만나고, 다른 www.unipress.co.kr 한국종교가 종교라는 이름을 얻기까지 우리는 만남이 잦은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가 사는 곳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을 만나고, 다른 나라를 여행하며 새로운 경험을 하기도.. 2023. 9. 6. 바빌론 강가에서 부른 귀향 노래 “바빌론 강가에서”(Rivers of Babylon)는 디스코 그룹 보니엠(Boney M.)이 불러 잘 알려진 노래이다. 그런데 이 노래를 둘러싼 의미의 껍질을 하나하나 들여다볼수록, 만만치 않은 종교적 가치가 이 문화적 상품 안에 담겨 있음을 알게 된다.(여건이 된다면 보니엠의 노래를 플레이해서 장중한 인트로와 더불어 글을 읽어주시면 좋겠다. 1. 우리 대부분에게 이 노래는 옛날 팝송의 하나이다. 노래 첫 구절을 우리 귀에 들리는 대로 변형해서 “다들 이불 개고 밥 먹어”[By the rivers of Babylon]라고 장난치는 데서 보이듯이(몬더그린mondegreen이라고 부른다), 단박에 의미가 통하지는 않는 영어 노래임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 팝송이 미국 노래가 아니라는 사실은 유념할 필요가 있.. 2023. 7. 16. 코로나 시대의 좀비 초등학교에 갓 들어간 아들 녀석은 날마다 좀비 놀이를 해달라고 성화다. 좀비 흉내를 내고, 총으로 좀비 쏘아죽이는 놀이를 하면서 저녁 시간이 다 간다. 나는 이쪽 문화에 시큰둥해서 끝까지 본 좀비 영화도 별로 없지만,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과연 좀비는 이 시대의 지배적인 상징이다. 좀비의 유래와 영화적 발전에 관해서는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꽤 알려진 편이지만, 그 변화를 종교연구자의 관점에서 정리해보고 싶다. 여기에는 상징의 생명력에 관한 중요한 쟁점들이 녹아 있다. 공동체 바깥의 존재 좀비는 아이티의 부두교 주술사 보코르(bokor)가 노예처럼 부리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었다. 보코로는 특정한 사람에게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독극물을 사용하여 가사(假死) 상태에 이르게 하고 무덤에 집어넣는다. .. 2023. 6. 4. 동작구 종교 이야기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산 지 10년이 조금 넘었다. 고장의 내력을 파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지만, 종교 이야기라면 귀를 쫑긋 세우는 직업적 습관 탓에, 그리고 최근에 관련된 작업을 한 덕에, 귀에 익은 내 주변 지명들에 얽힌 종교적 사연들이 하나둘 쌓였다. 현재 지자체에서는 동작구를 사육신묘를 근거로 ‘충효의 고장’으로 브랜드화하고 있다. 하지만 동작구는 유교 문화 외에도 숱한 종교들의 만남과 자리 잡기가 명멸한 곳이다. 나는 이 글에서 근대 이후의 종교적 변화들을 기독교들을 중심으로 풀어가려 한다. 1. 노량진이 경기도 과천군에 속했던 대한제국기 이야기다. 이 지역에는 도성 외곽의 무당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1906년에 일제가 노량진에 인천수도공사를 설립하자, 일제에 의한 토지와 가옥의 무.. 2023. 6. 4. 일상화된 코로나의 아픔 1. 코로나 천만 시대에 좋아진(?) 것이 있다.(코로나의 위험을 경계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한 태도이겠으나, 사회적 태도 변화를 말하는 것이니 너그러이 보아주셨으면 한다.) 이젠 코로나가 일상적인 질병으로, 덜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서로에 대한 경계심이 누그러지고 있다. 2년 전에 우리가 이것을 얼마나 심각하게 여겼는지를 떠올린다면 이제는 심리적으로 이를 극복하고 위드코로나에 접어들고 있음이 실감난다. 물론 인식의 변화에는 의학적 환경이 기본 바탕이 된다. 모두 알고 있듯이, 한편으로는 코로나19라는 같은 이름을 쓰고 있지만 코로나는 여러 변이를 거쳐 실질적으로 다른 질병이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차례의 백신 접종을 통해 견뎌낼 몸이 사회적으로 준비되었기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그래도 이와 더.. 2023. 6. 4. 페티시즘 개념을 통해서 본 개신교와 무속의 만남 개신교 선교사의 페티시즘 개념에 관한 글. 이 주제에 대해 옛날에 쓴 논문을 대폭 수정하고 자료를 추가해서 이번에 발표한 글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프레젠테이션 화면을 섞어 엄청 길게 올려본다. 1. 머리말 2. 페티시즘 개념사: 만남과 물질 (1) 페티시즘의 출현 (2) 종교학의 페티시즘 (3) 경제학과 심리학의 페티시즘 3. 선교 현장의 페티시즘 (1) 전도된 물질적 가치 (2) 페티시 파괴: 개종의 세레모니 (3) 페티시즘의 학문적 서술 4. 맺음말 페티시즘 개념을 통해서 본 개신교와 무속의 만남 1. 머리말 2008년에 제작된 영화 는 숙희(송혜교 분)가 무당의 딸이라는 신분을 속이고 독실한 재미교포 개신교 집안에 시집간 이후를 그린 이야기이다. 남편이 사망한 이후 숙희는 옆집 젊은 부부와 가.. 2023. 6. 4. 하필 이럴 때 종교학 강의라니 (이 글은 비대면으로 진행된 필자의 인간과 종교 강의 인사말이다. 종교에 대한 말을 꺼내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강의 인사말이라는 형식으로 답답한 마음을 정리해본 것이다.) https://crrc.tistory.com/2555 우리는 사회적 거리를 두고 특별하게 만나고 있습니다. 얼굴을 마주하지 못한 채 학기를 시작하는 일은 경험해보지도 생각해보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사회 활동이 정지하다시피 한 지금, 경제를 비롯한 우리 일상의 여러 영역은 타격을 입고 변화가 불가피합니다. 종교 역시 그러합니다. 종교사적으로 꼽힐만한 사건들이 이어지고 있어, 아마 코로나19가 지나간 이후 종교계 모습도 많이 바뀔 겁니다. 학생들은 아마 종교에 대해 알아보겠다는 생각으로 수강 신청을 했겠지만, 한두 달 지난 지금 시점에 그.. 2023. 6. 4.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