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례7

[번역]퍼포먼스3(캐서린 벨) 다음 글의 일부를 대략 번역한 것이다. 글의 셋째 부분.Catherine Bell, “Performa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211-220.문화적 퍼포먼스에 대한 고전적 연구는 유대인 노인 센터에서 열린 야곱 코비츠(Jacob Kovitz)의 95번째 생일 파티 묘사이다. 이 분석에서 바버라 마이어호프(Barbara Myerhoff, 1984)는 의례적 행동이 예상치 못한 상황. 특히 야곱이 축제 도중 사망한 상황에서 현실에 대한 집단적 해석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야곱은 이 행사를 자신의 희망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고자 했지만, 동유럽의 사라진 슈테틀(shtetles) 출신의 이민자들로 구성된, 이디시어를 사용하는.. 2025. 4. 21.
[번역]퍼포먼스2(캐서린 벨) 다음 글의 일부를 대략 번역한 것이다. 글의 둘째 부분.Catherine Bell, “Performa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208-211.퍼포먼스 이론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종교와 문화에 대한 최근 사유들의 중요한 측면을 구현하는 여러 상호 연관된 주제들에 있다. 실제로 퍼포먼스라는 범주는 종교 활동에 내재한 문화적 역동성을 구체화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종교적 삶이 단순히 개념적 신념이나 사회적 관계의 기능적 표현을 넘어선다는 점을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문화적 역동성에 대한 초점은 이러한 활동들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성찰을 자극했다. 다른 한편으로 의미에 관한 질문은 수행적 행동이 단순히 아이디어나 태도를 전달.. 2025. 4. 16.
[번역]퍼포먼스1(캐서린 벨) 퍼포먼스(캐서린 벨) 1 다음 글의 일부를 대략 번역한 것이다. 글의 첫 부분.Catherine Bell, “Performa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205-208. 학자들은 종교적 활동을 말할 때 여러 용어를 사용한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전례(liturgy), 예배(worship), 의례(ritual), 그리고 최근에는 퍼포먼스(performance)라는 용어가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각기 다른 관점과 가정을 반영하지만, 의식적인 형식성과 전통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례적 행위가 종교의 주요 측면이며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초점이라는 전제를 공유한다. 그러나 계몽주의 이후 대부분의 종교 이론은 이러한 행위가 감정적, 교리적, 혹은 공.. 2025. 4. 1.
[논문]코로나 시대의 종교와 공간(2021) 코로나 유행이 1년 이상 되었던 시기에 준비한 논문. 불확정적인 시대에 시사적인 글을 쓰다보니 주제가 잘 잡히지 않았다. 애는 썼지만 결론은 평범한 편. 상황의 요청에 의해 써야 하는 글은 쓰기가 쉽지 않다.  방원일, “코로나 시대의 종교와 공간”, 『종교문화비평』 40 (2021).  초록:한국의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종교는 이슈의 중심에 있었다. 한국 정부는 방역을 위해 비대면 종교 집회를 요청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독립적 영역이었던 종교 공간에 공적 개입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개신교는 전반적으로 비대면 예배를 수용하였지만, 일부 교회가 대면 예배를 고수하면서 논쟁이 빚어지기도 했다. 개신교회가 ‘주일성수(主日聖守)’라는 시간적 규범을 공간적 규범으로 변형해가면서까지 대면 예배를 고수한 배.. 2025. 2. 24.
의례에 대한 알짜 사실들 조너선 스미스의 ‘의례 이론’을 소개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다음 글을 골랐다. Jonathan Z. Smith, "The Bare Facts of Ritual," >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이하의 내용은 이 글에서 나름대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대목들을 뽑고 그것을 다른 사례들을 들어서 해설하는 방식을 취한 한시간 분량의 강의안이다. 1. 대본에 없는 것1-1. 의례에 관한 두 이야기: 우연한 요소의 개입[글 처음에 인용된 두 이야기를 그대로 소개하였다. 의례에 우연한 요소가 개입된 이야기와 그렇지 않은 이야기이다. 우연성이 언제든 들어올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이야기.]표범들이 갑자기 사원에 들어와 의례용 잔에 든 물을 마셔버렸다. .. 2023. 6. 2.
로스역 누가복음 1장 존 로스의 최초 한글 번역본인 (1882) 1장을 강독하고 남기는 메모.부분적으로 신약 완본인 (1887)와 비교하면서 읽었다.옛 한글 입력이 되지 않아 불완전하게 기록할 수밖에 없다. 1. “도道를 전하던 자” 말씀을 ‘도’로 번역. 2. “하느님” 표기 사용. ‘하느님’과 ‘주’ 뒤에는 한 칸 띄움으로써 공경 표시. 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표기법이다.3. “게명誡命과 네禮” “규례規例” 의례 규정에 대한 표현들. 에서는 ‘경계境界와 예의’라는 특이한 표현이 사용되었다.“분향焚香”이라는 의례 행위, “향단香壇”이라는 의례 장소에 대한 용어 사용.4. ‘기도한다’는 의미로 “빌다”라는 토속적 용어 사용이 이채로움5. “성신”. ‘성령’이 일반화되기 이전의 용어. 6. “청주淸酒와 독주毒酒를 마시지 않고” .. 2013. 7. 28.
게일 사전(1893)의 종교용어들 2 게일의 1893년 사전에서 'sprit'을 중심으로 검색해보니 귀신 이름에 관한 명칭뿐만 아니라 의례 행위에 관한 용어들을 풍부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의례 명칭 일불제사寅不祭祀 On 인 day there should be no sacrificing to spirits 오사례五謝禮 Sacrifice and thanksgiving to the five spirits of the house: of the kitchen, rooms, stairway, gate, godown. 유혼일遊魂日 The spirits' festival day-one of the unpropitious days in the calendar. 개토제開土祭 The sacrifice offered to the spirit of the mo.. 201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