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_뒤르켐5 종교학사에서 구조적인 선행이라는 논리 뒤르켐은 의 논의를 시작하면서 이른바 ‘원시종교’를 다루는 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원시의 추구가 새로운 맥락에서 이루어짐을 밝힌 중요한 대목이라고 생각한다. 원시, 그리고 기원의 문제가 연대기적인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인 것이라는 접근방식의 전환이 잘 보이기 때문이다.내가 하고 있는 연구는 종교의 기원이라는 낡은 문제를 다시 제시하되 새로운 조건 아래 제시하는 것이다. 만약 기원적인 것이 절대적인 최초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이 문제는 절대 과학적인 것이 아니게 되겠지만, 이 점은 반드시 배제되어야 한다. 종교가 존재하기 시작한 절대적인 순간은 있을 수 없으며, 그 지점은 마음속으로 우리를 그곳에 갖다놓는 우회적인 방법으로도 찾을 수 없는 것이다. 다른 모든 인류의 제도들처럼, 종교는 어디.. 2023. 6. 2. 뒤르켐 <기본 형태> 1권 1장 메모 뒤르케임 책에서 종교 정의에 관한 부분. Émile Durkheim, Karen E. Fields (tr.),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New York: Free Press, 1995); 에밀 뒤르케임, 노치준 & 민혜숙 옮김, >(민영사, 1992), 1권 1장.1권 1장. 종교현상과 종교에 대한 정의 종교 연구에 앞서 종교 정의를 제시하는 것, 현재 연구에서는 상식화된 것이지만 그런 작업을 제대로 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었다고 생각한다. 뒤르케임은 당시 종교학자들이 정의의 문제에 엄밀하지 못했음을 비판하고 하나의 본을 보인다. 그의 종교 정의 작업은 종교에 대한 기존의 선입견들을 검토하는 데서 시작한다. Ⅰ. 종교는 초자연적 현상이 아니다Ⅰ-1. 그가 처.. 2023. 5. 11. 뒤르켐 <기본 형태> 서론 메모 다음 책을 다시 읽으면서 남긴 메모이다. 본문의 숫자는 다음 책의 쪽수를 가리킴.Émile Durkheim, Karen E. Fields (tr.),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New York: Free Press, 1995); 에밀 뒤르케임, 노치준 & 민혜숙 옮김, >(민영사, 1992), 서론. 서론Ⅰ-1. 감동적인 처음 두 페이지이 책은 이렇게 시작한다.“나는 책을 통해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단순하고simple 원시적인primitive 종교를 연구하여 그 원리principle를 발견하고 설명explain하고자 한다.”(1/21)일단 ‘원시적인primitive’과 ‘단순한simple’이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이른바 원시성에 대한 저자의 태도가 간명하게 제.. 2023. 5. 11. <Relating Religion> 5장: 만나와 마나 이야기 이 글은 만나와 마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성서에 나오는 음식 만나와 멜리네시아에서 보고된 종교적 개념 마나 사이에는 별 관계가 없다. 만나 이야기는 만나라는 음식 이름이 다양한 이야기 구조에 따라 어떻게 다양하게 쓰였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마나 이야기는 인류학 보고에서 출현한 마나 개념이 어떻게 종교학의 이론적 논의를 주도하는 재료가 되었는지를, 특히 뒤르켐과 레비-스트로스의 작업을 통해서 살피는 이야기이다. 둘은 발음만 비슷하지 관련이 없다. 글 끝부분에서 꽤 멋있게 마름질을 하긴 했지만, 아무리 보아도 스미스 특유의 지적인 탐미주의에서 비롯된 글 구성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내가 글에서 찾아낸 만나와 마나 사이의 유일한 끈은 주35이다. 이 주에서 스미스는 뒤르켐 저작 영역본(Field의 것)에.. 2023. 5. 9. 스미스 선생의 뒤르케임 가르치기 종교학 수업에서 뒤르케임의 책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를 논의한 >(Oxford University Press, 2005)이라는 책이 있다. 뒤르케임주의자라고 하기는 뭣하지만 뒤르케임의 팬인 나로서는 흥분되는 내용이 많은 재미있는 책이다. 사회학 교실에서 뒤르케임을 읽는 것과 종교학 교실에서 뒤르케임을 읽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종교학 전통에서 뒤르케임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어떤 맥락이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어떤 방식으로 그에 대한 몰이해를 씻고 책 안의 통찰을 살아있는 것이 되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대학 개론 수업에서 뒤르케임을 다루어본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들이 실려있다. 이것은 단순히 교육의 테크닉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 요즘의 종교학 흐름이 뒤르케임의 재발견이라는 토대 위에 구축된 것이라는 .. 2023. 4.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