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4

존스, "영행강목" 조원시, "영행강목", 5-1, 1907년 1월 최병헌의 "성산유람기"와 동일한 호에 수록. 최병헌이 종교 개념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존스가 먼저 시작. 2020. 12. 8.
다우스웨이트, "한국에 관한 메모"(1884) A. W. Douthwaite, Notes on Corea (Shanghai: Shanghai Mercury Office, 1884), 47-57. (자료 상태가 좋지 않아 47, 50, 51, 54, 55만 확인 가능) 다우스웨이트, (1884) 종교 (47) 서양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종교’라는 말을 통해 이해하는 것은 한국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한국은 아시아 다른 나라들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국가 종교’(state religion)라고 불리는 것은 유교 윤리체계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도 종교가 아니다. 위대한 중국 성현의 가르침은 이론적으로는 관료와 유식 계층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의 심성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런 영향력도 미치지 못한다. 불교는 한국에 4세기에.. 2010. 12. 10.
하디의 종교 논의 R. A. Hardie, "Religion in Korea," The Missionary Reviews of the World 10-12 (Dec., 1897): 926-31. 하디의 1897년 글에서 몇 부분. 한국인의 종교에 대해 매우 상충되는 견해들이 존재해왔다. 어떤 사람들은 엄밀히 말해서 한국 사람들은 종교를 갖고 있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다른 사람들은, 현재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불교 외에도 두 구분되는 종교가 성행한다고 주장한다. 하나는 유교 규율을 윤리로 삼는 것으로 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고, 다른 하나는 미신을 맹신하는 것(superstitious fanaticism)으로 하위 계층에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고 싶다. 불교, 유교, 그리고.. 2009. 5. 31.
그리피스의 <한국의 안팎>중 "종교" Griffis, William Elliot, Corea, Without and Within (2nd ed.; Philadelphia: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1885[1884]), 161-71. 그리피스, , 제3부 제15장 종교 “종교에 관해 말하면, 한국인들에게 종교는 거의 없다.” 이것은 17세기 네덜란드 개신교인의 증언이다. 1883년 가을 서울과 개항장에 몇 주 머물렀던 스코틀랜드 성직자도 하멜에 동의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서구 국가들이 보통 ‘종교’라는 용어를 통해 이해하는 것은 한국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한국은 아시아 다른 나라들과는 뭔가 다르다.”1) 그 곳에 오래 머물렀던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들도, 다양한 여행객 .. 2008.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