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질종교3

[번역]종교학의 물질적 전회(소니아 하자드) 아래 논문의 번역이다. 물질종교 연구라는, 종교학의 새로운 연구 경향을 소개한 논문의 번역이다. Hazard, S. 2013. “The Material Turn in the Study of Religion”. 4(1). 종교학의 물질적 전회소니아 하자드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물질적 전회를 겪고 있다. 여기서 "물질적 전회"는 물질적 사물과 현상 ―물체, 실천, 공간, 신체, 감각, 정서 등―이 학문적 탐구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되었다는 주장을 의미한다. 자기 분야의 중심 범주[종교]에 대한 특별한 도전과 역사적 무게에 직면한 종교학자들도 이러한 경향에서 예외가 아니다.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서구 담론에서 구성된 종교는 여전히 개별 신자에게 사상적 일치를 부여하는 신념 체계라고 주로 정의된다. 즉, 종교.. 2025. 2. 26.
[논문]근대 크리스마스의 형성(2024) 크리스마스는 이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다룬 주제이다. 평소에 관심을 두고 모아둔 자료를 정리하고, 최근에 본 좋은 책을 기반으로 쓴 논문이다. 서양의 크리스마스 역사는 내가 창의적인 주장을 제기할 수 없는 분야이다. 그렇지만 학술적으로 조금도 정리된 내용이 없다는 이유에서, 정리 차원의 논문을 쓰게 되었다. 다음에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생각하고 있다. 방원일, "근대 크리스마스의 형성: 유럽 전통의 메타모포시스", 15권 1집(2024년). 초록:크리스마스는 근대 미국에서 유럽 전통을 조합해서 형성한 ‘만들어진 전통’이다. 이 논문은 크리스마스가 고대 유럽에서 형성된 배경, 근대에 전통의 변형을 통해 재탄생하는 과정, 현대에 상업적 환경 속에서 성장하는 모습을 다룬다. 우리는 이 사례.. 2025. 2. 24.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있어 종교적 이미지로서의 기차 “기술 문명의 발달이 종교적 상상력과 어떻게 만나는가?”라는 물음은 언제나 흥미진진하다. 이 문제에 대하여 전에 살짝 운을 뗀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아프리카계 미국인(흑인)들의 종교적 상상력에서 기차라는 운송 수단이 어떻게 그려졌는가를 분석한 글을 읽게 되어 몇 가지 사례들을 간단히 정리해 놓는다. 다음 글에서 뽑은 내용이다.John M. Giggie, ""When Jesus Handed Me a Ticket": Images of Railroad Travel and Spiritual Transformations among African Americans, 1865-1917," David Morgan & Sally Promey (ed.), The Visual Culture of American Relig..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