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학 벌레978

선교사 자료(1) W.M. Junkin William M. Junkin - 미국 남장로교회 최초의 한국 선교사로서 한국이름은 전위렴이다. 그는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선교 사업을 추진하다가 1908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본문에 인용된 글은 개신교 선교사가 한국의 동학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보여주는 흔치 않은 자료이다. 최제우에 의해서 시작된 동학은 성경대전(동경대전의 오기)을 경전으로 하고, 필자는 동학과 유, 불, 선의 관계를 서술하면서 특히 가톨릭(서학)에 대한 대응으로 동학이라는 이름이 명명되었다고 보면서 가톨릭과의 관계도 설명하고 있다. .....동학은 1895년 경상도 경주에서 시작되었다. 경주는 부산으로부터 북쪽으로 45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는 학자였고 다음과 같은 경험을 했다고 주장했다. 수년간 가톨.. 2007. 5. 25.
제사 문제 자료 1. 총독부 시정 연감 중 "제사조" 91년에 국립국학원에서 단행본으로 출판한 게 있어서 그걸 참조하렵니다. 2. 韓晳曦(한석희) 저 『日本の朝鮮支配と宗教政策』 여기에 김승태 논문에 나오는 동아일보 기사(삼종신기 숭배 비판)와 관련해서 신사참배 강요와 기독교인들의 거부 반응, 운동에 대한 기술, 그리고 1915년에 공포된 "포교 규칙"의 원문이 나옵니다. 당시의 시대적 맥락을 아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3. 김승태 논문에 기재된 동아일보 기사. 그외 연람이 가능한 당시 동아일보 기사. 2007. 5. 25.
은혜의 결혼식 이것은 개신교 결혼식이 막 보급되기 시작할 때의 모습이다. 의식 절차에 있어서는 전통 혼인을 그대로 따르는데, 전통 혼인 이후에 예배당에 가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덧붙여져 있다. 이 기록에서 흥미를 끄는 것은 개신교인은 중매라는 전통적인 방법을 통해서라도 개신교인과 결혼해야 한다는 의식이 초기부터 확고했다는 점이다. 현재의 교인끼리의 결혼이라는 의식이 상당히 오래된 것임을 볼 수 있다. M. F. Mrs. Scranton, "Grace's Wedding," Korean Repository 5 (Aug., 1898): 295-297. 은혜의 결혼식 모든 한국의 젊은 남녀들의 인생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일은 결혼이다. 그러나 결혼에 관련된 결정에 대해 그들은 거의 아무런 권한을 갖지 않는다. 기독교인들은 자.. 2007.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