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에서 개신교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3. 한국에서 개신교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살면서 행하는 것, 의례적 3-1. 복음을 전하는 것, 죄를 심는 것 선교의 시작은 언제나 “당신이 죄인임”을 일깨우는 것 “남편과 아내가 함께 있도록, 그리고 아이와 하인들도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도록 구획된--이전에 그들은 사적인 것이라곤 없어서 대낮에도, 다른 사람에게도 거리낌이 없었기 때문에-- 큰 거주 공간”을 짓도록 원주민들에게 권유하였다. 매사추세츠만 식민지에 충성을 바치는 추장들을 위한 교리문답 시험은, 원주민 지도자들에게 유럽의 성적인 죄악들, 이를테면 “간통, 간음, 근친상간, 강간, 남색, 수간” 등에 대한 설명을 장황하게 설명해 놓고, 그들로 하여금 “더러운 욕정을 범하지 말 것”을 명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들 대다수가 북미원주민..
2009. 12. 1.
언더우드, "한국의 부름" 3장
Underwood, Horace G., The Call of Korea (New York: Fleming H. Revell, 1908). 언더우드, 제3장 [종교 없음] 한국인들은 종교 없는 사람들이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분명히 그들은 그다지 종교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몇 개 안 되는 사원과 사당을 갖고 있다. 우리는 한국인들이 사원에 북적이는 것을 본 적이 없고, 그들이 공적이거나 개인적인 예배에 많은 시간, 돈, 정성을 쏟는 것을 본 적도 없으며, 사제들의 금고에 봉헌하는 것도 보지 못했다. 게다가 사제들은 매우 낮은 계급이다. 아프리카인들의 미신, 인도, 티벳, 중국, 그리고 심지어 일본의 신봉자들과 비교해 볼 때, 사실 한국인들에게 오래된 형태의 종교들은 그들에게 거의 영향력을 유지하..
2009. 10. 1.
존스, 토착 종교들(2)
George Heber Jones, "The Native Religions," Korea Mission Field 4-2 (Feb., 1908). 존스, 토착 종교들(2) (앞의 글에서 이어서) 한국 유교는 네 영역이 도덕적 통제에 속한다고 인식한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1)개인의 인간적인 생활 (2)가정 (3)민족이나 국가 (4)인간이 관련을 갖고 있는 우주. 이들 각각의 숙명과 목적은 특정한 수단에 의해 성취된다. 개인은 성실성을 통해서, 가정은 효도를 통해서, 국가는 질서정연한 행정을 통해서, 세계는 평화를 통해서 자신의 숙명을 성취한다. 성실성, 효도, 질서정연한 행정, 세계 평화는 중요한 발전과 관련된다. 한국의 유교인들은 개인의 성실성 없이는 가정의 효도가 없으며, 가정의 효도 없이는 질서..
2009.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