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66

헐버트 책(1906)에 실린 종교 도상들 Homer B. Hulbert, (London: Page & company, 1906). 2010. 5. 17.
기포드 책(1898)에서 사용된 한국종교 도상들 Gifford, Daniel L.,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898). 2010. 5. 17.
게일의 한국종교 서술(1909) 2 제임스 게일의 1909년 책에서 한국종교를 서술한 것은 3장이다. 일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하였다. 3장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한다. James Scarth Gale,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9). (82-92) 그러나 조상숭배가 한국의 영적인 영역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고 [단순히] 가정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한국인의 위대한 종교이다. 이것은 거룩한 사회에 들어오고자 하는 이는 준수하고 따라야 하는 필수적인 형식인, 정통의 핵심적인 믿음이다. 영매, 축귀, 산신, 용, 점술, 점성술에 대한 신자가 되라고 강요당하지는 않지만, 조상숭배자가 되라는 강요는 받는다. 그렇지만 이집트가 나라를 .. 2010. 5. 13.
게일의 한국종교 서술(1909) 1 제임스 게일의 1909년 책에서 한국종교를 서술한 것은 3장이다. 일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하였다. James Scarth Gale,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9). (67-70) 한국은 유난히 종교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도성에는 평민들 거주지 위에 솟은 거대한 사원이 없다. 승려, 공적인 기도, 참배객, 탁발승, 돌아다니는 성스러운 동물, 예식서나 촛불의 판매, 향을 올릴만한 그림, 부복仆伏하는 모습 등, 사실상 종교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식들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의 영혼이 자신을 벗어나 그 위나 너머에 있는 다른 영혼들에 도달하는 것을 종교라고 본다면, 한국인 역시 종교적.. 2010. 5. 13.
<한국 스케치>에 사용된 종교 도상 제임스 게일의 1898년 책에 사용된 종교 관련 도상. James Scarth Gale, (New York: Fleming H. Revell, 1898). 종교에 관련된 사진이 많지는 않다. 책 겉면에 사용된 장승 그림과 234쪽의 불교 관련 사진. 2010. 5. 8.
<전환기 조선>에 실린 종교 관련 도상 제임스 게일의 1909년 책에 실린 종교관련 사진들을 모았다. James Scarth Gale,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9). 이 책에서 종교에 관한 내용은 3장이다. 3장에서 사용된 사진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각각 69, 71, 87, 104쪽에 나오는 것. 104쪽은 사회 생활에 관한 장이지만 혼례 사진이어서 같이 실었다. 2010. 5. 8.
1890년 중국 선교사들이 벌인 제사 관련 논의 1890년 상하이에서 열린 선교사 회의에서는 이전과는 달리 제사 문제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다음의 마틴의 글이 그것이다. W. A. P. Martin, "The Worship of Ancestors: A Plea for Toleration,"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0): 619-31. 뒤이은 블로젯의 글은 마틴에 대한 반대 입장이다. H. Blodget, "Attitude of Christianity toward Ancestral Worship,"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0): 631-54. 이어서 다른 선교사들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대부분 제사 용인에 대한 반대 입장이다... 2010. 5. 8.
Yates, "Ancestral Worship" 1877년 중국 선교사 협의회에서 발표된 선교사 예이츠의 글로, 제사를 엄격하게 반대하는 당시 중국 개신교 선교사들의 입장이 잘 정리된 글이다. Yates, A. S. B. C., "Ancestral Worship", ,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8). 2010. 5. 8.
"한국의 잔류물"(1900) 중에서 헐버트의 다음 글에서 종교에 관련된 언급만 옮겨 놓았다. Homer B. Hulbert, "Korean Survivals," 1 (1900). 만약 한국이 당나라와 그 이후에 중국의 이념에 완전히 종속되었다면, 1500년이 지난 후 이 나라에는 토착적 기원이라든지 잔류물(survival)이라고 할 만한 것을 지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한국의 독특한 것이자 중국과는 구분되는 다른 측면을 제시할 것이다.(29) 에서는 고구려의 풍속과 관습을 자세히 묘사한다. 유교에 관한 내용은 없고, 토착 주물숭배와 샤머니즘에 대해 묘사한다. (32) 나는 한국이 대부분 중국의 종교 체계를 가져왔음을 말했다. 나는 유교 숭배가 서기 원년 조금 후에 한국에 소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기독교가 영국에 처음 소개.. 2010. 5. 6.
한국을 위한 기도 시간(1885) 한국종교에 대한 선교사들의 일반적인 견해가 드러난 대표적인 글. 선교잡지의 기도 코너에 실린 내용. "The Hour for Korea," 44 (Sept., 1885): 153-56. 한국을 위한 기도 시간 “그들은 교회의 전송을 받고 떠나서, 페니키아와 사마리아를 거쳐가면서, 이방 사람들이 회개한 일을 이야기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 곳의 모든 신도들을 매우 기쁘게 하였다.” ( 15장 3절) 옛 로마 세계에서 그랬던 것처럼, 기독교가 모든 고대 신앙들이 부패한 상태에 있는 시기에 한국에 들어가고 있는 것은 크나큰 섭리이다. 최근에 이 나라에 들린 사람들을 모두 놀라게 했던 한 가지 사실은, 이 나라에는 이상하게도 하나의 두드러진 주도적 종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독교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 2010. 5. 5.
게일 사전 3판(1931년)의 종교 용어들 게일 사전의 1931년 증보개정판 한영사전에서 찾은 종교 어휘들. 이 목록은 아래 포스팅한 1897년 초판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 사전은 해방 이전에 나온 한영/영한사전 중 가장 방대한 어휘를 자랑한다. 참고로 주요 사전들의 어휘 수는 언더우드 사전(1890년) 8400개, 게일 초판(1897년) 35,000개, 게일 2판(1911년) 50,000개, 게일 3판(1931년) 82,000개이다. James S. Gale, , 3rd ed. (Seoul: 朝鮮耶蘇敎書會, 1931). 귀신 鬼神 Spirits; demons. See 신. 신 神 A spirit; a demon; a god; -used by some Protestant sects for "God". 신선 神仙 Genii; supernatur.. 2010. 4. 22.
게일 사전(1893)의 종교용어들 2 게일의 1893년 사전에서 'sprit'을 중심으로 검색해보니 귀신 이름에 관한 명칭뿐만 아니라 의례 행위에 관한 용어들을 풍부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의례 명칭 일불제사寅不祭祀 On 인 day there should be no sacrificing to spirits 오사례五謝禮 Sacrifice and thanksgiving to the five spirits of the house: of the kitchen, rooms, stairway, gate, godown. 유혼일遊魂日 The spirits' festival day-one of the unpropitious days in the calendar. 개토제開土祭 The sacrifice offered to the spirit of the mo.. 2010. 4. 13.
게일 사전(1893)의 종교용어들 1 게일의 1893년 사전은 언더우드의 1890년 사전에 비해 종교에 관련된 어휘가 상당히 풍부해졌다. 게일 사전에서 'sprit'을 중심으로 검색한 결과들을 성격에 따라 무리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sprit'이 ‘귀신’의 번역어로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 개념 악귀惡鬼 An evil spirit; demon 요정妖精 Spirits; goblins; evil creatures 원귀 The spirit of one who has suffered a wrong that has not been righted. 영靈 The soul; the spirit. See 신. 사귀邪鬼 Evil spirits; demons; corrupt object of worship. See 마귀. 신神 A spi.. 2010. 4. 13.
언더우드 사전(1890)에 수록된 종교용어들 언더우드가 1890년에 발간한 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영/영한사전이다. 문헌정보를 보면 헐버트와 게일의 도움을 받았다고 되어 있는데, 사실상 이 세 선교사의 공동작업으로 편찬된 사전이 아닐까 생각된다. Horace Grant Underwood, (Yokohama: Kelly & Walsh, 1890). 이 사전에서 종교용어들이 어떤 식으로 번역되는지 간단히 찾아보았다. 귀신이나 신에 관련된 항목들을 주로 찾았다. 아래 자료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어떤 어휘가 존재하지 않는가’에 대해서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초기 작업이기 때문에 빠진 어휘들도 있겠지만, 그 어휘가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거나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전에 없는 것일 수도 있다. 악귀惡鬼 An evil spirit, a dem.. 2010. 4. 12.
게일의 한국어 사전들 전에 선교사들이 편찬한 사전에서 신 명칭을 찾아본 적이 있었는데, 이제는 초기 영한/한영사전의 종교 용어들을 본격적으로 조사할 필요를 느낀다. 특히 게일의 작업한 사전이 중심이 된다. 게일은 1897년에 처음으로 사전을 편찬한 이후 3번의 개정을 거쳐서 1931년에는 대사전을 편찬하였다. 초판과 3판의 어휘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James S. Gale, (Yokohama: Kelly & Walsh, 1897). James S. Gale, , 2nd ed. (Yokohama: Kelly & Walsh, 1911). James S. Gale, , 3rd ed. (Seoul: 朝鮮耶蘇敎書會, 1931). 함께 참고할 만한 중요한 사전들로는 다음이 있다. 언더우드의 사전은 최초.. 201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