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67 트롤로프 "한국 교회"(1915)의 종교 서술 트롤로프는 1915년에 성공회 선교 역사를 정리한 라는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의 앞부분에는 한국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온다. 그 중에서 종교에 대한 서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종교의 종합적 특성에서 시작“한국인의 자연 종교(natural religion)의 기반은 자연숭배, 영웅숭배, 정령숭배, 주물숭배의 기묘한 뒤섞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유교“이 기반 위에서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당시 중국이 소유했던 종교적 관념을 사회적, 정치적 관념과 함께 들여왔다. 그것은 기원전 5, 6세기 경 위대한 중국 선생님 공부자와 제자들에 의해 정경화되고 체계화된 통합적 체제이다. 그 날 이후 한국은 이 위대한 스승의 가르침의 헌신적인 추종자라고 스스로를 자랑삼아 일컬었다.”“그러나 유교는 흔히 지적되듯.. 2014. 1. 21.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의 성공회 구역 양화진 외국인묘지의 오른쪽 가장자리인 I열에 성공회 선교사 묘비들이 서 있다. 묘역을 한 바퀴 참배하고 나오는 길에 한번 쳐다보고 지나치는, 다른 구역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하는 곳이다. 더구나 이 구역의 무덤들은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지 않아 하나하나 접근하기가 쉽지 않으며, 선교사 무덤과 한국인 평신도의 무덤이 공존하고 있어 무덤 배치도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우연이겠지만 양화진에서 성공회 묘역의 위치는 우리가 성공회에 대해 갖는 관심과 앎의 정도와 상응한다는 생각이 든다. 2014. 1. 21. 인천외국인묘지, 랜디스의 묘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에 있는 인천외국인묘지. 양화진 외국인묘지보다 먼저 형성된 외국인 묘지이지만(북창동), 현재는 청학동에 이장되어 있다. 이곳에는 인천에서 활동한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Eli Barr Landis)와 맬컴(F. B. Malcom)의 무덤이 있다. 인천 청학동 주택가 뒤에 조용히 들어앉은 작은 규모의 묘역이다. 깨끗하게 관리되고는 있지만 평소에는 공개되지 않는 듯하다. 참고> 원래 랜디스 묘의 사진(출처: Morning Calm) 2014. 1. 21. "모닝캄" 창간호의 한국 기사 성공회 창간호(1890)에 실린 한국 관련 기사. 코프 주교가 영국을 출발하기 전 작성된 내용으로, 당시 한국에 관련된 자료들을 취합해서 작성한 것이다. 대부분의 내용은 그리프스의 에서 인용된 것이다. 한국의 미개척 상황을 강조한다. “선교사들은 한국인에게 기독교의 온전한 힘을 아직 보여주지 못했다. 예수, 로마, 그리스 혹은 개혁교회 등 어떤 형태의 종교도 한국의 이교도들 앞에서 환영받을 것이다.”(8) 종교 부분은 “Various Consular Reports, 1882-1888”라고 되어 있는 자료를 인용한다. 외교관의 보고서인 것 같다. (1)하멜 보고서 인용으로 시작한다. ‘종교에 대해 말하자면 한국인에게는 거의 없다.’ 이 문장은 하멜 원본에는 없는 삽입문이지만 당시 유통된 영어본을 사용하던 .. 2014. 1. 21. "Morning Calm"(1901)의 축구팀 사진 성공회 선교사가 발행한 1901년 에서 학교 축구팀 사진을 발견하였다. 최초는 아니지만 매우 초기의 축구팀에 대한 메모. 아이들의 플레이가 흡족했는지 기록자는 영국 리그까지 들먹이며 허풍을 친다. 박지성이 프리미어리그에 가기 백 년 전의 이야기. 다만 내가 본 자료가 복사본이라 사진의 상태가 극악한 점이 아쉽다. “(사진은) 강화학교 축구팀으로, 브리들(G. A. Bridle) 목사가 몇 년간 공들여 연습시켰다. 소년들은 축구를 매우 잘 하기 때문에, 조금만 더 연습한 후에는 영국의 리그 경기에 참가할 실력을 갖출 것이다. 정말로 그들은 축구 선수로서 전혀 꿀릴 것이 없다. 나는 그들이 크리켓 경기를 하도록 소개하고픈 바람이 있었지만, 그들은 이 게임에는 익숙지 않아 두려워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록자.. 2014. 1. 11. 천주교 예언서 "니벽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필사본 한 부가 보관 중.(1897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됨)정학술이라는 사람이 이벽이 죽은 지 60년이 되는 1846년 6월 14일에 꿈속에서 이벽을 만나 들은 이야기를 쓴 것. 이벽이 말해 준 천주교 교리 내용, 이벽의 예언서인 의 내용 소개, 이벽의 생애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1846년은 병오박해가 시작되던 시기로, 저자가 예언 형태를 통해 위기에 처한 천주교 공동체에 희망을 주려고 저술한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 이벽의 예언 마지막은 1846년 이후로 “내세가 임하여 죄 있는 자 모두 토멸당하고 선하고 천주공경하는 자 혹 세상을 이어갈 때가 오고 있나니라.”로 마무리된다. 이벽이 했다는 예언 내용은 정감록 계통 예언서의 형식을 많이 따른다. 이 자료가 천주교 공동.. 2013. 9. 12. 커즌의 한국 종교 서술 조지 커즌은 영국의 정치인으로 인도 부왕을 역임하고 외무장관이 되었던 인물이다.(위키 항목을 참조할 것) 젊은 시절인 1892년 커즌은 아시아 여행을 하고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책을 썼다. 정치적 야망이 큰 그로서는 당시 첨예한 동아시아 정세에 대해 스스로 관찰하고 견해를 정립하고 싶었던 것이다.그의 책 (1894)에서 한국 종교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찾아보았다. 마지막 부분에서 그도 보도각 백불을 방문했음을 볼 수 있다. 2013. 9. 10. 로스역 누가복음 1장 존 로스의 최초 한글 번역본인 (1882) 1장을 강독하고 남기는 메모.부분적으로 신약 완본인 (1887)와 비교하면서 읽었다.옛 한글 입력이 되지 않아 불완전하게 기록할 수밖에 없다. 1. “도道를 전하던 자” 말씀을 ‘도’로 번역. 2. “하느님” 표기 사용. ‘하느님’과 ‘주’ 뒤에는 한 칸 띄움으로써 공경 표시. 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표기법이다.3. “게명誡命과 네禮” “규례規例” 의례 규정에 대한 표현들. 에서는 ‘경계境界와 예의’라는 특이한 표현이 사용되었다.“분향焚香”이라는 의례 행위, “향단香壇”이라는 의례 장소에 대한 용어 사용.4. ‘기도한다’는 의미로 “빌다”라는 토속적 용어 사용이 이채로움5. “성신”. ‘성령’이 일반화되기 이전의 용어. 6. “청주淸酒와 독주毒酒를 마시지 않고” .. 2013. 7. 28. 이순이 루갈다 옥중편지에서 메모한 부분 유요안과 동정부부로 지내고 함께 순교한 이루갈다의 옥중서한. 심문기록과는 달리 순교한 천주교인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이 내용은 1868년 울산에서 순교한 김종륜이 필사한 자료를 통해 전해진다. 이 자료에는 “누갈다 초남이 일긔 남매”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다음 출판물에서 읽은 내용이태영, 유종국 역주, (천주교 전주교구, 2011). 1. 이순이-유중철 동정부부 생활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예수님의 ‘성혈공로’를 이야기하며 유혹을 이겨냈다는 대목이 인상적이다.“양인이 발원맹세發願盟誓하여 사년을 지내는 동안 실제로 남매같이 지냈사옵니다. 중간에 유혹을 거의 십여 차례를 당하여 거의 약속을 저버릴 뻔하였다가 성혈공로聖血功勞를 일컬어 능히 유혹을 면하였사옵니다.”(이루갈다가 어머니에.. 2013. 4. 3. 교회의 반공주의 사설(1938) 교회의 반공주의가 노골적으로 표현된 1938년 글. 글을 쓴 주간은 이명직 목사이다. “적룡(赤龍)은 무엇인가”, (1938) 2012. 4. 27. 십일조에 대한 1920년대 "활천" 기사들 십일조에 대한 초기 자료들. 십일조에 대한 한국 교회의 전형적인 논리가 이미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십일조는 헌금이 아니다”, (1926) “십일됴와 축복”, (1929) 2012. 4. 27. 기독교의 개화 이미지 출처: CBS 다큐 영화 에 등장하는 기독교의 이미지. 젊은 남녀의 활동 공간, 개화를 위한 교육 장소로서의 예배당. 2012. 2. 28. [전단]천국과 지옥은 실재하는가 출처: 금란교회 홈페이지( http://www.kumnan.org/ ) 2월 14일 공지사항 2012. 2. 24. 선교 사진들 출처: Donald N. Clark, (Seoul: The Korea Society, 2009). 신약성서 번역 위원회(1904년 평양) Underwood Collection 레이놀드, 언더우드, 게일 “주님의 소리”를 들음(1910년경 장소 미상) Mission Photograph Collection 칠판의 글씨(년도 미상 평양) Mission Photograph Collection 전도지 표지(년도 장소 미상) 금주운동 표지(1925년 평안북도 영변) 산에서 하는 강복식(1933년 마산) Maryknoll Mission Archives 2011. 11. 3. 초기 개신교 결혼식 사진 출처: Donald N. Clark, (Seoul: The Korea Society, 2009). 기독교 결혼식 장면(1920년경 서울) Mission Photograph Collection 한국식 기독교 결혼(1904년 함흥) Moffet Korea Collection 결혼 구경꾼들(1904년 함흥) Moffet Korea Collection 2011. 11. 3.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