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66

한국의 종교(성공회, 1935) L. O'S. Beere & W. E. Lees, Corea (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in Foreign Parts, 1935).1935년 성공회 선교부에서 발행된 한국에 대한 정보를 담은 소책자. 기존의 선교사 문헌에 나온 내용을 정리한 수준이다. 표현이 약간 세련된 면이 있지만 새로운 내용은 없다. 책의 3장 “한국의 종교”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한국인의 종교는 무엇인가?”라는 일반적인 질문에 대해 가장 정확한 답변은, 한국인들이 자기 자신의 종교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두세 종교들을 부분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우리는 이 종교들을 연구해야지만 기독교가 이 종교나 도덕 체계가 대변하는 다양한 열망을 충족하기 위해 무엇을 제공해야 할지 답할 수.. 2019. 2. 12.
불교가 종교가 아니라는 주장 Herman J. Warner, "The Last Phase of Atheism," 78 (Jan. 1865), 86.미국의 한 신학 저널에 실린 불교연구서 서평. 저자는 불교가 자신들이 생각하는 의미의 철학이 아니며 종교도 아니라고 단언한다. 불교가 기존 종교 관념에서 벗어남을 잘 보여주는 글. 2019. 2. 11.
재림교회 선교사 목록, 1909-1919 한국에서 활동한 재림교회 선교사 목록, 매년 발행되는 다음 책의 내용을 옮긴 것이다. 재림교회 한국 선교부는 1909년에 설립되었고 1917년부터는 지역 조직을 갖추고 확대되었다. Year Book of the Seventh-day Adventist Denomination (Washington, D. C.: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09Superintendent: C. L. Butterfield.Secretary and Treasurer: W. R. SmithSecretary of Publishing Work: W. R. Smith.Advisory Committee: C. L. Butterfield, W. R. Smith, Dr. Riley Russe.. 2018. 2. 12.
성공회 SPG의 한국 선교 시작 “How the SPG Mission to Corea Began,” The Church Abroad 4-44 (Aug., 1906), 85-94. 외지복음전파선교회(SPG)에서 발행하는 세계선교 잡지에 실린 한국 이야기 한 편. 성공회 선교의 초기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다수의 사진들과 함께 실려 이 글은 픽션 형식이지만 강화도 온수리에서 활동한 의료선교사 로스(Arthur F. Laws, 노인산)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이며, 의료 선교와 수녀원 활동과 더불어 진행된 성공회 선교 과정을 요령 있게 압축해서 보여준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강화도 마을에 한 외국인이 나타나 집을 구입한다. (2)의료선교사인 그는 살기 힘든 집을 열심히 수리해서 진료실로 만들었다. 이내 진료가 시작되었다. (.. 2015. 12. 3.
선교사 글 목록, The Korean Repository 선교사들의 한국학 관련 글들이 많이 실려 있는 "The Korean Repository"의 글 목록이다. 선교사 위주로 선별된 자료. 대표이름 기사 호수 생산년월 페이지 Hulbert, H.B. "The Korean Alphabet" 1-1 1892.1 1-9 Jones, G. Heber "The Japanese Invasion" 1-1 1892.1 10-16 Gale, J.S. "To The Yaloo and Beyond 1" 1-1 1892.1 17-24 Macgowan, D.J. "Notes on Recent Russian Archaic Researches Adjacent to Korea, and Remarks on Korean Stone Implements" 1-1 1892.1 25-30 Giff.. 2015. 11. 5.
선교사 글 목록,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 저널(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에 수록된 선교사들의 글 목록이다. 이 저널에는 초기에 선교사 글이 많았고 점차 학자들의 글이 많아진다. 대략적으로 선별했기 때문에 선교사 아닌 학자들의 글도 포함되었을 수 있다. 대표이름(영문) 저서/논문명 호수 생산년 페이지 Gale, James S. The Influence of China upon Korea 1 1900 1-24 Hulbert, Homer B. Korean Survivals and Discussion 1 1900 25-50 Jones, George Heber Korea's Colossal Image of Buddha 1 1900 57-70 Tr.. 2015. 11. 4.
불입천국 황성신문 1899년 4월 14일 기사 "불입천교" 2015. 4. 6.
존스의 한국 크리스마스 묘사(1902) G. H. Jones, "Christmas among Koreans", The Korea Review 2-2(Feb. 1902), 61-63 존스가 묘사한 한국 크리스마스 풍경. 그는 크리마스날 교회 전체가 일체가 되어 축제로서 이 날을 보내고 있다고 말한다. 크리스마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말하는 글. 2015. 2. 4.
"Korea Field" 글 목록 "Korea Field"(1904-1905)는 선교사 잡지 "Korea Mission Field"가 창간되기 전에 존재했던 잡지이다. 아마 예비 작업 성격의 저널이 아닌가 추정해본다. 주로 선교 보고서와 서한에서 발췌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의 글이 실려 있다. 기고문보다는 발췌문이 많은데 이 덕분에 다양한 자료들을 볼 수 있다. 등장하는 선교사의 이름도 다양하다."Korea Mission Field"처럼 널리 보급된 자료가 아니어서 도서관에서 접하기 쉽지 않은 것 같다.아래는 글 목록을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다. 1904-5년 2년 동안 3개월 간격으로 발행되었다. 선교사 이름을 중심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저자가 표시되지 않은 글은 목록에서 빠진 것이 있다. 그래도 80-90%는 목록에 정리되었다. 저자.. 2015. 2. 4.
재림교회 선교 현황 재림교회 일본 선교부 책임자인 필드 목사의 보고.인쇄 장비를 갖추고 선교 문건을 제작하기 시작했음을 알리고 있다.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84-42 (1907.10.17), 15-16. 2015. 2. 2.
함종교회 소식(1903) 감리교회에서 발간된 신학월보에 실린 평남 강서군 함종교회 소식. 사경회와 개종, 교회 발전을 전하고 있다. 중간에 천주교 출신 개종자 김주련씨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는 교회의 금주에 대해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교회의 틀에 박힌 답변을 듣는다. 그는 교회의 입장에 수긍하고 금주서약서를 제출한다. 금주에 대한 초기 교회의 태도를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이다. 3-4(1903년 4월) 2014. 4. 28.
선교사의 일상 선교사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사진 자료들. 출처는 다음 논문이다.조선혜, "노블 부인의 선교생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1. 엄마의 방(1909)노블 부인의 딸 루스의 일기(1909년 1월 29일)에 ‘Mama’s Room’이라는 그림이 삽입되어 있다. 선교사 사택의 실내를 잘 보여주는 자료로, 한옥을 사택으로 쓸 때에도 실내는 서양식으로 개조했음을 알 수 있다. 침대, 화장대, 의자, 양탄자, 옷장, 액자 등이 보인다.(132-33) 2. 워싱턴 탄신일 기념행사(1900)선교사들은 독립기념일을 축하하였으며, 사진과 같이 워싱턴 탄생일에는 당시의 복장을 하고 모이는 행사를 갖기도 했다. 사진에 나오는 선교사는 노블 부인, 존스 부인, 윔볼드, 아펜젤러, 벙커.(164-65) 3. .. 2014. 4. 13.
불교인에게 전도한 일(1897) “불교인에게 전도한 일”, 《조선그리스도인회보》(1897년 8월 25일)“불교인에게 전도한 일(속)”, 《조선그리스도인회보》(1897년 9월 1일) 2014. 3. 14.
계주론(1897) “계주론”, 《조선그리스도인회보》(1897년 6월 23일) 2014. 3. 14.
천당지옥론(1897) "천당지옥론", 《조선그리스도인회보》(1897년 4월28일) 2014.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