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66

[전단]군화도덕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안내문이 아니다. 부처님이 못다 가르쳐 준 진리를 가르쳐 준다고 주장하는 군화 도덕이라는 다른 종교 단체에 대한 선전이다. 지하철에서 구한 전단지로, 지하철광고지 자리로서는 요충지에 해당하는, 출입문 바로 양 옆의 광고틀의 모서리에 끼워져 있던 것을 가져왔다. 지하철에서 내릴 때 손이 자연스레 닿을 수 그 위치는 보통 대출에 관련된 명함 크기의 광고들이 많이 자리한 곳인데, 종교 광고들도 가끔 눈에 띈다. 교회 주보나 군화도덕 안내문이 그 자리를 차지할 때가 있다. 군화 도덕이라는 단체의 가르침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그러나 그들의 광고 기법은 옛날부터 눈에 띄었다. 사실 종교의 진리는 어디서나 발견될 수 있는 것인데, 그 진리가 발견되는 지점 중에 특이한 지점을 잘 포착해내.. 2023. 4. 11.
파란 옥수수 나는 인디안밥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북미원주민들에 대한 이미지를 심는데 큰 역할을 한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옛날만큼은 못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팔리고 있는 제품이다. 켈로그나 포스트의 시리얼 제품이 우리나라에 소개되기 전에는, 인디언밥은 우유에 타먹을 수 있는 과자로 조리퐁과 함께 이 방면의 선구자 역할까지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과자에 우유를 부으면 대번에 기름이 떠오르는 게 문제이긴 했지만, 그런 것도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우유를 부어 먹는 과자가 있다는 게 신기했을 뿐이었다. 지금의 과자 포장에는 우유를 부어 즐기라는 안내문은 사라졌다. 며칠 전 한국 슈퍼에서 인디안밥을 샀다. 디자인이 새로워졌다. 이전 도안의 노회한 인디안 대신에 농심의 마스코트인 너구리(너구리와 관련된 북미원주민 신화는 들어본.. 2023. 4. 11.
선드블롬의 코카콜라 산타 이미지 어제 밤에 산타 할아버지도 안 왔던데... 궁시렁거리며 쓰는 산타 클로스 이야기.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산타의 이미지, 그것은 1931년부터 시작된 코카콜라의 광고에 의해 결정적으로 굳어진 것이다. 지금의 산타 할아버지 이미지, 그러니까 빨간 모자와 옷에 흰수염에 발그레한 뺨의 거구의 할아버지는 1920년대에 형성되어 코카콜라 광고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확정되었다. 그 전에는 통일되지 않았다. 원래는 성 니콜라우스의 주교 이미지도 있었고, 팅커벨 계통의 초록 요정 이미지도 있었다(이 경우엔 거구의 할아버지가 아니었다). 코카콜라 산타 이미지를 그린 것은 하돈 선드블롬(Haddon Sundblom)이라는 스웨덴 출신의 미국 화가였다. 그는 1931년부터 1964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코카콜라의 산타 이.. 2023. 4. 11.
[전단]애리조나 단학선 밥먹으러 가다가 우연히 우리동네에서 단학선원을 보게 되었다. 이 곳 전단지를 보니 애리조나에 무려 9개의 단학선원이 있다. 1개는 일명 “미국의 계룡산” 세도나에 있는 마고 가든(Margo Garden)이고 피닉스 밸리 도시 지역에 8개가 있다. 엄청난 숫자다... 느낌에 코스트코 정도의 갯수는 되는 것 같다. 세도나 마고 가든이 있는 애리조나에만 예외적으로 많은 건지 확인해보기 위해 미국 분포도를 보았는데, 미국 전역에도 많은 지점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이 '단 요가'(Dahn Yoga)이다. 수련 혹은 수행에 대해 ‘요가’는 학술적인 번역은 아니나 상업적으로는 성공적인 번역이라고 생각된다. 표지 사진 모델의 자세, 단학 수행에도 이런 자세가 있겠지만 우리나라 단학선원 광고에서는 못보.. 2023. 4. 11.
미국 초기 개신교 전통들 미국 종교사를 읽다보면 무지 많은 교단들이 등장해서 정신이 없는데, 포니 선생이 수업 시간에 나눠준 표는 교단들을 정리해서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1) 첫번째 가지는 종교개혁을 통해 로마 가톨릭에서 갈라져 나온 교단들. 개혁교회, 루터 교회, 재침례파, 그리고 영국 국교회. 이중 재침례파(Anabaptist)는 혹독한 탄압을 받았는데, 독일과 스위스 지역에 있던 이들이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와 그 중에서도 종교의 차이에 관대했던 (퀘이커교도들이 맡고 있었던) 펜실베니아주에 정착해 독자적인 마을들을 이루고 살게 된다. 지금의 아미쉬(Amish)나 메노나이트(Mennonite) 교단들이 그들의 후예이다. 2) 두번째 가지는 영국 국교회에서 뻗어나온다. 청교도, 퀘이커, 감리교, 쉐이커. 다.. 2023. 4. 11.
건빵과 간장 광나루 역 근처에 나갔다가 신앙촌 물건을 취급하는 가게가 있어 들어갔다. 신앙촌 스타킹이나 속옷을 판매하는 노점상들(최근에 내가 본 것으로는 사당역이나 총신대입구 근처와 여의도 성모병원 근처)은 가끔 볼 수 있었는데 점포로 있는 것은 처음 보았다. (나중에 어느 분의 말씀을 들으니 도봉구 자기 집 근처에도 하나 있다고 한다.) 들어가 보니 의류와 이불 외에도 내가 살만한 식품류도 있었다. 여성 의류들도 좀 사서 어떤지 어머니께 물어보고 싶은 생각도 들었지만, 감각도 없는 내가 여성 의류를 그렇게 무작정 샀다가는 돈 낭비를 할까봐 자제하고 건빵과 간장을 좀 샀다. (건빵 500원, 간장 2500원) 간장은 아직 따보지 않아 맛이 어떤지 모르겠고, 먹어 보아도 솔직히 내가 알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하지.. 2023. 4. 9.
미국 종교, 교단 분포도 미국 종교들에, 그리고 미국의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나에게 좋은 자료가 있어 퍼 놓는다. 이 지도들을 들여다 보노라면 내가 미국 종교에 대해 얼마나 모르고 있었는지를 깨닫게 된다. (그림이 잘려 나온다. 클릭을 해야 지도를 제대로 읽을 수 있음.) 1. 신앙인의 분포. 생각보다 상당히 낮다. 2. 지역별 다수 교단 분포도. 이 결과도 상당히 의외다. 가톨릭의 분포가 상당히 넓다. 3. Catholic 가톨릭 교회 4. Baptist 침례교회. 역시 남부 지역에서 초강세. 다른 지역엔 거의 없다. 5. Methodist 감리교회. 중부지역에서 강세. 6. Lutheran 루터교회. 의외로 북부 지역에서 강하다. 역사적인 이유가 있을텐데... 7. Jewish 유대교 8. Pentecostal 오순절 교회 .. 2023. 4. 9.
존스, "영행강목" 조원시, "영행강목", 5-1, 1907년 1월 최병헌의 "성산유람기"와 동일한 호에 수록. 최병헌이 종교 개념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존스가 먼저 시작. 2020. 12. 8.
최병헌, "삼인문답" 최병헌, "삼인문답(1)", (1900. 3. 21) 최병헌, "삼인문답(2)", (1900. 3. 28) 기독교 전도인이 유학자 둘과 나눈 가상 대화 형식의 글이다. 유학과의 대화를 통해 기독교를 소개하고 전도하는 내용이다. 최병현은 이후 이런 대화 형식을 발전시켜 1907년에 "성산유람긔"를 연재하고 1909년에 을 출판하게 된다. 2020. 11. 12.
Elizabeth Anna Gordon 한국 불교에 관한 책을 쓴 고든 부인 관련 자료. 다음 글의 앞부분을 번역한 것이다. (시험삼아 구글에 번역시키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업해보았다. 구글이 경어체로 번역하는 바람에 그대로 따름) Noboru Koyama, “Elizabeth Anna Gordon (1851–1925)”, Britain and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Vol. VIII (BRILL, 2013). Elizabeth Anna Gordon (1851–1925) 고든 부인과 일본 1891년 엘리자베스 안나 고든(Elizabeth Anna Gordon, 결혼 전 이름은 Henry)과 그녀의 남편 존 에드워드 고든(John Edward Gordon, 1850–1915)은 세계 일주 여행을 시작했습니다. 그.. 2020. 7. 3.
"Daybreak in Korea"의 이미지 애니 베어드(Annie Laurie Adams Baird, 1864-1916)의 영문 소설 "Daybreak in Korea : a tale of transformation in the Far East"(1909)에 사용된 이미지들. 소설 속에 삽입된 이미지들인데, 어디서 촬용된 사진들인지 궁금하다. 2020. 6. 29.
번하이슬, "다른 종교와 이단들" Charles F. Bernheisel, “Meeting other Religions and Heresies,” KMF 10-4 (1914, April), 105-108. 재림교회(유대인의 율법주의를 계승한 자들), 여호와의 증인(천년왕국) 천도교: 이곳만의 독특한 이단. 살아있는 예수를 예배한다고 주장. 몰몬교와의 유사성(땅에서 파낸 돌에 영감, 성경 이용, 현세에 대한 욕심[조상숭배, 제사]을 경전에 보완) 2020. 1. 23.
"경세종"의 사진촬영 김필수, (광학서포, 1910) 후에 목사가 되는 김필수가 1910년에 저술한 경세종의 마지막 장면은 동물들이 회의를 끝내고 원숭이 사진사의 인도를 따라 “기념촬영”을 하는 것이다. 당시(그리고 그 이후로도) 중시되었던 사진찍기 관행이 이르게 묘사된 사례로 보인다. 2019. 7. 18.
"고영규전"에서 Mrs W. M. Baird, (예수교서회, 1911), 16. 베어드 부인이 지은 “고영규전”에서 부인이 남편을 기다리던 중 기독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믿게 되는 장면이다. 어떻게 섬기는지 몰라 정화수를 떠놓고 칠성에게 기도하는 방법으로 예수를 믿게 해달라고 기도를 드린다. 이 기도는 이루어진다. 전통적인 기도가 기독교로 연결되는 접촉점이 되었다고 시인하는 흥미로운 대목이다. 2019. 7. 18.
"부부의 모본"에서 Mrs W. M. Baird, (예수교서회, 1911), 34. 책에 실린 소설 “부부의 모본”은 에베소서 5장 22절의 한국 상황 적용이 다루어진다. 재미있는 대목 중 하나로, 고부갈등에서 며느리와 아들이 연합하여 성경 말씀을 거론하며 시어머니를 이겨내는 장면이다. 2019.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