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66 이광수, “금일 조선 야소교회의 결점” 이광수, “금일 조선 야소교회의 결점”, 11 (1917. 11) 2014. 3. 1. 이광수, “야소교의 조선에 준 은혜” 이광수, “야소교의 조선에 준 은혜”, 9 (1917. 7) 2014. 3. 1. 구타펠의 한국 이야기 Minerva L. Guthapfel, ‘‘How They Come Into the Kingdom,’’ Woman’s Missionary Friend, 38, no. 3 (March 1906): 81–84. 2014. 2. 22. 한국 특집기사(1901) 해외 선교잡지 Woman's work for woman (v.16 1901)에 한국 관련 기사가 집중적으로 실렸다. “편집자의 글”Bertha F. Hunt, “Faithful Korean Women”“Home Life in Korea”Eliza M. Howell, “A Grateful Work”“A Thought”“In the House”Margaret Best, “A Missionary Journey”W. L. Swallen, “A Korean Convert”“The Junkin Memorial Hospital at Fusan”Bertha F. Hunt, “Loving and Patient Student of the Word”Elizabeth M. Howell, “With Korean Christia.. 2014. 2. 22. 노블 부인, "한국의 성경학교" Mattie Wilcox Noble, ‘‘A Bible Institute in Korea,’’ Woman’s Missionary Friend, 38, no. 11 (November 1906): 399–400. 2014. 2. 22. 한국 생활 릴리아스 언더우드의 한국 생활에 대한 편지 ‘‘Korea,’’ Woman’s Work for Woman and Our Mission Field, 4, no. 12 (1889): 328-29. 2014. 2. 22. 한국 여성의 생활 길모어가 한국 여성의 생활에 대해 구체적으로 묘사한 글. Geo. W. Gilmore, ‘‘Social Phrases in Korea,’’ Heathen Woman’s Friend, 22, no. 1 ( July 1890): 3–5. 2014. 2. 21. 한국 소녀들 아펜젤러 부인이 해외 선교잡지에 기고한 글.이교도 한국 여성의 조혼과 격리 생활에 대한 비판을 그림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Mrs. Ella Appenzeller, ‘‘Korean Girls,’’ Heathen Woman’s Friend, 20, no. 2 (August 1888): 47–48. 2014. 2. 21. 한국 여성 1886년 선교 잡지에 실린 한국 여성 그림.‘‘A Woman of Korea,’’ 17-8 (February 1886): 182. 영혼도, 제대로 된 이름도 없는 이교도 여성으로 묘사된다. 2014. 2. 21. 이화학당 스크랜튼 부인이 선교 초기 해외 잡지에 보낸 한국 활동 소개. 그림이 인상적이다. Mary Scranton, ‘‘I Hoa Haktan, Seoul, Korea,’’ 20-7 ( January 1889): 173–74. 2014. 2. 21. 애국가 가사 관련자료 2014년 초 혜문스님과 안민석 의원의 미국 방문으로 애국가 작사가 논란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내가 읽은 책은 (흥사단, 2013). 이 책은 윤치호가 아니라 안창호가 애국가의 작사자라고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흥사단에서 낸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든 생각은 오히려 윤치호가 작사자라는 주장에는 문헌적 근거가 있는 반면에 안창호 쪽 주장은 구전과 믿음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이었다. 내 판단은 큰 의미가 없고, 이 논쟁의 주요 자료와 내가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한다. 1. 애국가 가사의 원형이 등장하는 것은 1908년에 발행된 재판이다. 표기법과 몇몇 단어를 제외하고는 현재 형태와 동일하다. 이 책의 편집자(역술譯述)는 윤치호이다. 2. 윤치호는 1945년 사망하기 몇 .. 2014. 2. 9. 랜디스의 한국 숫자 관념 연구 E. B. Landis, "Numerical Categories of Korea," 3 (1896): 431-38, 464-68. 랜디스의 한국 숫자 관념 연구. 중국에 대한 비슷한 연구에 착안해서 한 작업이라고 스스로 밝히고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숫자 관념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발상임에는 틀림없다. 현대에도 시도해볼만할 정도로. 2014. 1. 30. 랜디스의 한국 속담 연구 2 E. B. Landis, "Some Korean Proverbs (2)," 3 (1896): 396-403.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의 한국 속담 연구. 1890년대 수집된 이 속담들 중에는 우리 귀에 익은 것도 있지만 다소 낯선 것들도 있다. 2014. 1. 27. 랜디스의 한국 속담 연구 1 E. B. Landis, "Some Korean Proverbs (1)," 3 (1896): 312-16.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의 한국 속담 연구. 1890년대 수집된 이 속담들 중에는 우리 귀에 익은 것도 있지만 다소 낯선 것들도 있다. 2014. 1. 27. 트롤로프 "한국 교회"(1915)의 종교 서술 트롤로프는 1915년에 성공회 선교 역사를 정리한 라는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의 앞부분에는 한국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온다. 그 중에서 종교에 대한 서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종교의 종합적 특성에서 시작“한국인의 자연 종교(natural religion)의 기반은 자연숭배, 영웅숭배, 정령숭배, 주물숭배의 기묘한 뒤섞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유교“이 기반 위에서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당시 중국이 소유했던 종교적 관념을 사회적, 정치적 관념과 함께 들여왔다. 그것은 기원전 5, 6세기 경 위대한 중국 선생님 공부자와 제자들에 의해 정경화되고 체계화된 통합적 체제이다. 그 날 이후 한국은 이 위대한 스승의 가르침의 헌신적인 추종자라고 스스로를 자랑삼아 일컬었다.”“그러나 유교는 흔히 지적되듯.. 2014. 1. 21.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