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_자료/이미지

어디에나 있는 그 분 얼굴

by 방가房家 2023. 5. 29.

우리에게 예수님은 어떤 모습일까? 신학적인 질문을 던지려는 게 아니다. 우리가 예수를 시각적으로 어떻게 상상하는가를 묻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흔한 답은 아마 다음 그림일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만나왔던 예수님 얼굴이다. 교회나 교회 단체들은 물론이고 기독교인 가정에서, 그리고 각종 기독교 용품이나 서적에 널리 이용되어온 도상이다. 도대체 이 그림은 누가 언제 그린 것일까? 별로 유명한 화가는 아니다. 이 그림은 미국 시카고에서 활동했던 워너 살만(Warner Sallman, 1892-1968)이 1941년 그린 <그리스도 얼굴>(The Head of Christ)이다. 살만은 20세기 중엽에 활동한 일러스트 제작가로 이 작품이 인기를 끄는 바람에 비슷한 이미지의 작품을 더 만들었다. 이후에 제작된 <주는 나의 목자이시니>라든지 <우리의 조종사 그리스도>와 같은 작품들도 우리에게 익숙하다. (살만의 작품에 대해서는 그의 갤러리 사이트를 참조하라.)

 
어떻게 해서 이 그림들이 우리에게 친숙하게, 우리의 그리스도 이미지를 지배할 정도로 보급된 것일까? 이에 대해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살만의 도상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학자 데이비드 모건(David Morgan)이 편집한 책 <<Icons of American Protestantism : The Art of Warner Sallman>>(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을 읽을 예정이다. 이 책에는 이 도상이 어떻게 대중들에게 보급되어 영향을 미쳤는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가 분석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는 모건이 어느 잡지에 쓴  쪽글 “The Face That's Everywhere”에 나온 내용만 토대로 해서 간단히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첫째, 이차대전이 이 도상 보급에 중요한 맥락이 된다. 구세군과 YMCA는 유럽과 아시아로 출전하는 미군들에게 포켓 사이즈의 <그리스도 얼굴> 그림을 나누어 주었다. 이 미군들은 이 그림과 전쟁을 함께했고, 예비역들에게 이 그림은 전쟁 추억의 일부로 남는다. 한국 전쟁에 참여한 미군들도 이 그림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둘째 맥락은 반공의 물결이다. 전쟁 후 미국 오클라호마와 인디애니주에서는 “카드를 뿌리는 공산주의자들”(card-carrying Communists)에 대항하여 ‘카드 뿌리는 그리스도인’이 되자는 캠페인이 일어난다. 이 때 카드는 살만의 그림이었다. 이 운동이 미국 전역에 퍼지면서 살만의 그림은 반공주의와 더불어 미국인들의 삶 곳곳에 자리잡는다.

이상의 정치적 배경이 그림이 한국인들의 가정에까지 속속 자리잡은 것에 대해 완전히 설명해주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에도 직접 관련된 정치적 흐름이 이 그림에 있음은 분명하다. 정치적 배경 말고도 이 그림은 선교사들이 세계 곳곳에 들고다녔을테니 여러 경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도상의 보급에 대해서는 내가 직접 조사할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도상이 신앙 생활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예를 들어, 이 그림이 인기를 끌 때, 이 그림 곳곳에 기독교상징들이 숨어있다는 소문내지는 증언들이 기독교인 사이에서 돌았다. 다음은 1956년 샌프란시스코 가톨릭 신문 <Monitor>에 실린 기사 내용이다. 한 번 찾아보시길. 이런 증언에 대해서 당사자 살만은 자기가 일부러 그런 것을 그린 적이 없다는 입장이었다. 다만 그는 독실한 신자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말하는 그러한 ‘기적’을 부인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 유명한 그림의 이마에는 성체를 나타내는 밝은 원이 있고, 오른쪽 눈썹 근처에는 성배 모양이 빛나고 있고, 오른쪽 눈 아래에는 성령을 표상하는 비둘기 모양이 있으며, 왼쪽 어깨 위에는 축성 때 몸을 구부리는 사제의 모습이 있다. 투닉(웃옷) 오른편에는 기도하는 천사의 모습이 있고, 더 오른쪽에는 수사의 두건이 보이고 반대쪽으로는 기도하는 세 수녀의 모습이 희미하게 보인다.
[David Morgan, <<Visual Piety: A History and Theory of Popular Religious Imag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28쪽에서 재인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