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0~1910년대 영국 신문에 실린 한국에 대한 일러스트와 사진들을 모은,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 사진으로 본 근대 조선>>(살림, 2008)이라는 예쁜 책에서 종교에 관한 그림 몇 장을 남겨놓는다.
1.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의 사진과 그가 활동한 제물포 교회의 모습.
이무래도 영국 기자이다 보니 성공회에 대한 사진들이 조금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CoBP/btr9qBLZkC3/PkWibMsLTNy3GYRr3Y1j7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cE2X/btr9BIpdPFx/W8mG39TL90H5cK0c14geUk/img.jpg)
2. 장승을 배경으로 달리는 일본군 모습. 익숙한 그림이다. 이 책의 일러스트들은 대부분 청일전쟁, 러일전쟁 소식을 전하는 것들이다. 이 소식의 주인공들은 일본군, 중국군, 러시아군이며, 한국인들과 한국의 모습은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그저 이 이야기의 ‘배경’ 이상이 아니다. 이 그림의 장승들도 이국적 느낌을 주는 배경 역할에만 충실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iGfaS/btr9qBypHgW/kngK8jX9sJI3nO1Sva3an0/img.jpg)
3. 이 장승 사진은 기괴하다. 사실 사진이라고 믿기지 않는다. 이런 모양의 전통적인 장승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 예외적인 모양의 장승(?), 혹은 이정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난감하다.
![](https://blog.kakaocdn.net/dn/dxgzQq/btr9AjwHofE/6c1q5hBhNl1Smnt9WcC4Dk/img.jpg)
4. 1911년 엄비의 장례식 광경. 왕가의 장례행렬을 별로 보지 못했던 나로서는 이 광경이 외국의 축제 퍼레이드를 보는 것만큼이나 낯설다.
![](https://blog.kakaocdn.net/dn/F2DZM/btr9wHkKzAm/EBkx5Ouk7q503pTikksmOk/img.jp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