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사자료/선교사문헌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서술

by 방가房家 2009. 1. 11.

나중에 써먹기 위해서 선교사들의 영어 자료들을 생으로 올림.  대표적인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서술들이다.  꽤 유명한 자료들로 이 문제(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인식)를 다루는 논문들에는 빠짐없이 인용되는 자료들이다.
 
1. 처음 한국에 왔던 선교사들은 ‘종교’라는 서구 범주를 한국의 문화에 적용하는데 주저하게 된다.  자신이 생각한 종교 개념과 여간 다른 게 아니기 때문이다.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알렌은 한국인들이 자신의 종교를 가지지 않는다고 서술한다.  그럼에도 강한 종교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Horace N. Allen, Things Korean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908), p.168.
The people really have no religion of their own.  Confucianism is merely a system of morals without God, and Buddhism has fallen into disrepute.  At the same time the natives are by nature devoutly inclined and Christianity naturally appeals to them.
 


2. 한국 문화에 깊은 애정을 가졌던 게일의 경우엔 좀더 심층적인 서술을 하고 있다.  그는 표면적으로 볼 때 한국엔 종교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종교 개념을 넓혀 다가간다면 한국인은 매우 종교적이라고 기술한다.  개념이 명확히 규정되고 있진 않지만, 자신들의 종교 정의가 불완전한 것임을 자각하고 있는 것이다.
James S. Gale, Korea in Transition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9), p.67.
Korea seems peculiarly devoid of religion.  There are no great temples in the capital that tower above the common dwelling of men.  There are no priests evident, no public prayings, no devotees, no religious fakirs, no sacred animals walking about, no bell-books or candles sold, no pictures with incense sticks before them, no prostrations, in fact no ordinary signs of religion, and yet if religion be the reaching out of the spiritual in man to other spirits over and above him, the Korean too is religious.  He has his sacred books, he kneels in prayer, he talks of God, of the soul, of the heavenly country. 
그는 한국의 종교가 복합적이라고 진술한다.  불교면 불교, 유교면 유교, 딱 떨어지지 않는 종교 소속이 서구 종교 개념으로 볼 때는 참으로 특이한 것이었으리라.  한국인의 종교에 대한 이 짧은 묘사 안에는, 다른 곳의 원주민들에게 적용되었던 낯선 용어들이 난무하고 있다.  주술이라든지 주물숭배, 정령 숭배라는 용어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후대의 종교 서술에도 많이 남아 영향을 끼치게 된다.
p.68.
Korea's is a strange religion, a mixing of ancestor worship with Buddhism, Taoism, spirit cults, divination, magic, geomancy, astrology, and fetishism.  Dragons play a part; devils(kwi-shin) or nature gods are abundant; tokgabi (elf, imps, goblins) are legion and are up to all sorts of pranks and capers; spirits of dead humanity are here and there present; eternal shades walk about; there are personalities in hills, trees, and rivers, in diseases, under the ground and in the upper air, some few ministering to mortal needs, but most of them malignant in their disposition, bearing wo and terror to the sons of men.  So easily are they offended and so whimsical in their make-up and difficult to please, that the spirit world is little better than Hades let out of school, with all mortals at their mercy.
 


3. 한국에 대해 방대한 저술을 남긴 헐버트는 종교에 대해서도 상당히 심도 있는 서술을 하고 있다.  그의 경우에도 서구 용어가 잘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이 종교 묘사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종교와 미신”이라는, 서구적 편견이 담긴 표제어를 달고 있는 서술이긴 하지만, 적어도 한국에서는 둘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새 용어를 제안할 정도는 아니지만, 적어도 기존의 구분이 부적절함은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기독교식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넓은 종교 정의를 적용하려는 노력도 보이고 있다.


Homer B. Hulbert, The Passing of Korea (New York: Royal Asiatic Society, 1906), pp.403-4.
"Religion and superstition"
... with these Eastern peopl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ell where religion leaves off and mere superstition begins.  I think it will be better to take the word in its broadest sense, and consider religion to include every relation which men hold, or fancy that they hold, to superhuman, infra-human or, more broadly still, extra-human phenomena.  And we must even supplement this by saying that in the category of extra-human we include the spirits of human that have died.
헐버트의 서술에서 돋보이는 점은 복합적인 한국 종교 현실에 대한 서술이다.  존스나 게일과 같은 다른 선교사들도 이 점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헐버트의 서술이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된다.  특히, 헐버트의 다음과 같은 묘사는 참 명언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인은 사회 생활을 할 때는 유교인이고, 철학적인 생각을 할 때는 불교인이며, 어려움에 처할 때는 정령숭배자(무교인)이 된다.”  10년 좀 넘는 기간 동안 한국 문화를 참 잘 꿰뚫어 보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기독교가 전해진 이후, 한국인이 기존의 전통들을 소거하지 않은 채 그 위에 기독교를 하나 더 얹어 신앙의 레파토리에 추가했을 거라고는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그가 기독교인이자, 유교인이자, 불교적 사상가이자, 무교인으로서 살아가는 현대 한국인의 종교 생활까지는 예상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the reader must ever bear in mind that in every Korean mind there is a jumble of the whole; that there is no antagonism between the different cults, however they may logically refute each other, but that they have all been shaken down together through the centuries until they form a sort of religious composite, from which each man selects his favorite ingredients without ever ignoring the rest.  In one frame of mind he may lean toward the Buddhist element and ay another time he may say that the all-round Korea will be a Confucianist when in society, a Buddhist when he philosophises and a spirit-worshiper when he is in trouble... I conclude that the underlying religion of the Korean, the foundation upon which all else is mere superstructure, is his original spirit-worship.  In this term are included animism, shamanism, fetichism and nature-worship generall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