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니거가 6장에서 최종적 독자로 염두에 두고 있는 ‘우리’는 미국 사람들 중에서도 세속 인문주의에 반작용하면서도 1차적 순진성으로는 돌아가지 못한 사람들이다. 맑스와 프로이트를 먹어치우고서도 여전히 배가 고픈, 이차적 순진성을 갈망하는 이들은 누구인가?
①신화화되지 않은 사람들(the un-mythologized)
②탈신화화되지 않은 사람들(the un-demythologized)
③탈신화화된 사람들(the demythologized)
④재신화화된 사람들(the remythologized)
2. 이 영화는 여신 숭배 형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영화가 너무 인기를 끌어 이 신에 대한 숭배가 인도 전역에 퍼졌으며, 사람들은 전통적인 예배 물품들(화환, 코코넛 등)을 극장 홀 앞 스크린에 바쳤다. 이 영화는?
①High Noon
②On the Waterfront
③Santoshi Ma
④Mr. Sampath
3. 도니거는 _______의 이론을 좇아,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화보다 의례에 대해 더 보수적(more orthoprax than orthodox)이라고 주장한다. 어릴 적부터 몸에 익힌 의례의 변화는 신화에 비해 일어나기 힘들다는 것이다.
①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
②스탈(Frits Staal)
③캠밸(Joseph Campbell)
④엘리아데(Mircea Eliade)
4. 스페인의 유대인들은 매년 세데르(Seder)를 지낼 때마다 문밖에 탁자를 펴놓고 카드놀이를 하는 사람들을 앉혀놓는다. 이것을 도니거가 무엇에 대한 예로 든 것인가?
①신화 없는 의례
②의례 없는 신화
③의례에 대한 신화
④신화에 대한 의례
5. 새해 두번째 날 유대인들이 읽는 첫 두루마리는 이삭의 희생 이야기가 들어있는 창세기 22장이다. 성전의 파괴 이후 성경에서 이 이야기를 읽는 것이 희생을 대신하게 되었다. 이것은 무엇에 대한 예인가?
①신화 없는 의례
②의례 없는 신화
③의례에 대한 신화
④신화에 대한 의례
6. 초기의 기독교 개종자들은 미사에서 카니발리즘의 예를 보는 경우가 있었다. 1600년대 독일에서 마녀로 고발당한 사람들은 미사의 성체를 훔쳐다가 성체에서 피가 날 때까지 물어뜯었다고 한다. 그들은 그것이 실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했다. 반면에 현대 미국인의 성찬식과 십자가에서 힘이 상실되었다고 도니거는 지적한다. 어떠한 힘이 상실되었다고 말하는 것인가?
7. 도니거는 미국 젊은이들이 현대 신화의 빠돌이/빠순이가 되는 원인 중 하나가 종교적 유아론, 셰일러이즘(Sheilaism)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지적한다. 도니거가 생각할 때, 종교적 유아론에 빠질 때 노출되는 진짜 위험은 어떤 것인가?
8. 크라코프에서 온 랍비가 프라하에서 경비대장을 만나 꿈 이야기를 듣고 돌아와 자기 집구석에서 찾아낸 보물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도니거의 꿈: 남의 신화를 통해서 우리 자신의 보물을 찾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 전통에서 나온 주제들을 통해 메타신화를 구성할 수 있다. 남의 신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임으로써 우리 신화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된다. 타자의 신화에서 이야기하는 낯선 것들, 우리가 꿈꾸어보지 못했던 것들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신화 안의 낯선 것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고 다른 각도에서 바라봄으로써 인식의 충격을 회복하게 된다. 타자의 낯선 이미지는 우리가 우리 자신을 대면하는 거울이 된다. 그들에게서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익숙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우리에서 익숙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 낯선 것임을 알게 된다.
9. 신화가 다른 문화권으로 옮겨가 자리잡는 과정을 순서대로 늘어놓으시오.
가. 신화는 개인 행위의 헌장으로, 그것을 통해 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은유로, 의미가 발견되거나 형성되는 유형으로 기능한다.
나. 신화는 이미 성화된 신화에 결합함으로써,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 군(群)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음으로써 성화(sanctified)된다.
다. 신화가 사람들에 의해 충분히 이야기 될 때, 신화는 옮겨간 일반 문화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야기하기를 통해 새로운 변형이 생겨남으로써 새로운 가지를 뻗기도 한다.
10. 다원주의 오리 이야기를 하면서, 도니거는 한마리의 오리에만 매달리는 것은 옳은 답일 수는 있지만 앙상한 답이며, 원형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도니거가 원형의 앙상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표현이 아닌 것은?
①일신교의 만신전
②속성이 없는 신(nirguna)
③삶을 가능케 하는 환상(maya)
④동굴 안의 “붐”이라는 하나의 메아리
11. 다음 사례들과 신화에 대한 진술을 알맞게 연결하시오.
가. 표면적으로는 남의 신화를 부정하지만 은연중에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다.
나. 때로는 자기 자신이 자신이 믿는 신화 속에 있음을 발견하기도 한다.
다. 이야기를 듣는 청중이 다른 사람에 대한 우리 문화 내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라. 오래된 신화의 재구성을 삶의 신화와 동일시함으로써, 우리는 삶을 메타신화로 볼 수 있게 된다.
①뉴욕의 유대인 사업가가 <마담 보바리> 안으로 들어가 엠마와 정사를 벌였다. 그는 엠마를 소설 밖으로 데리고 나와 플라자 호텔에 가서 악몽의 주말을 보낸다.
②퀘어커들은 침례가 효력이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러나 몰몬교인들이 조상들의 대리침례를 하면서 침례의 대상으로 퀘이커였던 조상들까지 포함시키자 퀘어커들이 이에 대해 심하게 반발하였다.
③셰익스피어 희곡의 리차드는 자신이 그리스도의 수난을 살아간다고 생각하고, 자신을 유다에 배신당한 그리스도에 비교한다. (엔도 슈샤꾸의 <침묵>에 나오는 사제는 자신이 그리스도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해왔으나, 마지막에 와서 자신이 그리스도를 배반한 유다의 삶을 살게 됨을 깨닫는다.)
④사하왈리의 바바는 마하바라타 전투를 다시 살아가며 마을 사람들에게 악령들을 물리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한다. 나중에 쉬바가 나타나서는 바바가 자기를 부른 그 때에는 아직 시기가 무르익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한다.
12. 도니거는 신화가 인식에 충격을 주는 측면 이외에 다른 측면을 이야기한다. 그것은 신화가 삶의 평범한 세부들, 익숙한 논리로 구성된다는 측면이다. 이것이 _______가 신화의 진부성(banality)이라고 불렀던 신화의 두번째 힘이다. _______는 우리의 꿈이 일상 생활의 의미없어 보이는 자잘한 것들을 모아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꿈의 세부들은 발현된 내용들인데, 이것은 _______이 신화의 발현의(manifestational) 측면이라고 부른 것에 해당된다. _______는 우리가 신화에서 의미 없어 보이는 문화적 브리콜라주의 단편들을 어떻게 통합해서 그것들에 역설을 담아 보이는지를 보여주었다.
13. 악마적인 여신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결혼한 인도 젊은 남성들의 성생활에 제약이 생긴다는 이야기는 _______을 말해주는 반면에, 목이 잘린 여신의 신화가 아이들의 갑작스런 이유(離乳)의 경험에 기반을 둔다는 이야기는 _______을 말해준다.
(신화가 현실에 영향을 미침 / 현실이 신화에 영향을 미침)
14. _______은 조셉 캠밸에 반대하면서, “창조 신화”가 개인이 기호를 통하여 소통하고자 하는 자신의 경험(질서, 두려움, 아름다움, 들뜸)을 가지는 순간에 그 결과 생겨나는 장르라고 특징짓는다.
①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
②융(Gustav Jung)
③롱(Charles Long)
④지라르(Rene Girard)
15. 도니거는 신화들이 공통된 기반(common ground)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주체들끼리도 서로 받아들일만한 것이 된다고 주장한다. 신화는 우리들의 삶의 노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놓인 차량 기지(roundhouse)같은 것이라고 그녀는 주장한다. 차량 기지는 비어있는 원형에 해당하는 것이며, 학자들은 다른 노선에 가기 위해서 꼭 거쳐가야 할, 그러나 머무를 수는 없는 곳이다. 우리는 하나의 발현으로부터 다른 발현으로 직접 소통할 수는 없지만 한 발현으로부터 원형으로, 그리고 원형으로부터 다른 발현으로 소통할 수는 있기 때문이다. 다음 중 원형에 해당하는 은유로 제시된 것이 아닌 것은?
①방문할 장소이긴 하지만 살 곳은 못 되는 뉴욕
②바벨탑의 저주를 무마하고자 만든 유사언어 에스페란토어
③원인구어(proto-Indo-European)를 표시하는 별표(*)
④용을 위해 붓다가 동굴에 남긴 그림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