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진홍2

엘리아데에 대한 짧은 메모 엘리아데는 이름이 알려진 유일한 종교학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직도 엘리아데가 어렵다. 그에게서 무언가를 더 캐내어야 할텐데, 아직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는 느낌만이 있을 뿐이다. 솔직히 얘기하면, 엘리아데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정진홍 선생님의 탓(?)이다. 정선생님의 가르침만 없었어도, 그저 엘리아데를 꿈 큰 학자로 쉽게 생각하고 지나쳤을지도 모른다. 그의 언어에 그리 촉각을 세우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엘리아데의 책은 그저 읽기에는 참 좋지만, 학문적 언어로 정리해서 이해하는 것은 수월하지 않기 때문이다.분명히 그의 저작들은 체계적이지 않습니다. 그의 이론은 정합성을 결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기준에서 보면 엘리아데가 일컬어지고 있다는 것 자체가 ‘알 수 없는 현상’이고, 그.. 2023. 4. 19.
종교, 종교들, 종교적인 것. 종교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그것을 기술하는 언어,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은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이 평범한 명제는 종교학 이론에서 매우 핵심적인 대목이다. 일단 정진홍의 최근의 책의 한 대목을 인용해 본다.거시적인 안목으로 인류의 종교사를 조망하면 우리는 비교적 선명하게 ‘종교의 역사적 변천’을 기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종교라고 일컬을 수 있는 것이 따로 있지 않은 채 ‘종교적’이었던 시대, 종교라는 것이 구분될 수 있는 문화로 등장하면서 각기 개개 종교들이 자신의 절대성을 당해 문화권 안에서 규범적인 것으로 발휘하던 ‘종교’의 시대, 문화권의 단절이 소통 가능하게 열려지면서 하나의 문화권 안에 여러 종교들이 공존할 수밖에 없게 된 ‘종교들’의 시대, 그리고 삶의 모든 양태들이 스스로 의미있.. 2023.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