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골3

물질성과 윤리적 행위지원성에 대한 입장들 기독교 인류학(Anthropology of Christianity)라는 영역의 주요 학자인 웹 킨(Webb Keane)의 논문 “Rotting Body: The Clash of Stances toward Materiality and Its Ethical Affordances”의 요약. 웹 킨은 인도네시아 개신교 선교에서 나타난 페티시즘 담론에 대한 저서를 쓴 바 있다. 그 이후로도 물질성이라는 주제를 꾸준히 천착하고 있다. 이 글은 정교회 유골 숭배를 다룬 연구들을 통해 물질성을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고 있다. 물질적 경험을 기반으로 한 대중적 신앙의 우주론, 윤리적 성격을 밝히고 있다. 저자는 용어를 현란하게 사용하는 스타일인데, 그 중에서 주목할만한 대목은 ‘행위 지원성’(affordance)을 물질적.. 2023. 5. 14.
유골/사리(relic) “유골/사리”(relic) Gregory Schopen,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 14장 영어 "relic"은 라틴어 "relinquere"(남기다)에서 유래한다. 유골은 ‘뒤에 남은 것’이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사리(舍利)의 산스크리트 어원은 몸이라는 의미의 "saria"(복수형 "sariani"가 사리를 의미함), 혹은 구성 요소, 근본 물질이라는 의미의 "dhatu"이다. 어원에서 동서양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지만, 유골/사리에 대해서 말해진 것과 사람들이 행한 것은 비슷하다. 종교개혁자들은 유골에 대해 적대적이었다. 칼뱅의 글("An Admonition Showing the Advantages Which Christendom Might Derive.. 2023. 5. 3.
성인전, 성유골 성인전은 보편적 진리를 예증하기 위해 특수한 사실을 희생하여 쓰여진 글. 성인전의 내용이 오늘날 ‘역사적 사실’이라고 간주되는 것에 근접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중세 성인전 작가가 성인 전기를 집필한 목적은 성인의 인격이나 개성에 관한 모든 것을 독자에게 말해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모든 시대 모든 성인에게 공통되는 성스러움의 보편적인 특징을 어떻게 보여주는가를 예증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예증이 성인의 생애와 죽음의 독특한 점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시되었기 때문에 성인의 보편적 특징을 예증하는 본보기와 일화들은 특정 성인의 생애에서 반드시 따올 필요가 없다.……성인전은 특정 사실보다 본원적 진리를 우선시하는 성인의 정형화된 세계관, 즉 다른 성인전에서 조금씩 따온 ‘상.. 2023. 5. 2.